증권 국내증시

'주가 고전' 배터리 3사…1분기 실적 성장 이어간다

'코나 화재' 해결…2,000억원대 영업익 관측

삼성SDI, 올해 전기차 배터리 사업 흑자전환

SK이노도 배터리 실적 개선…美 수입금지 악재





최근 조정장에서 배터리주가 크게 고전하고 있지만 LG화학과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대표 배터리 회사들은 올 1분기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21일 금융정보분석업체 에프엔가이드가 증권사의 실적 전망치를 분석한 결과, LG화학의 1분기 예상 매출액은 9조2,580억원, 영업이익은 8,564억원 수준이었다. 이 중 미래에셋대우는 LG화학의 배터리 부문인 LG에너지솔루션이 1분기에 약 4조1,929억원, 영업이익은 2,266억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증권가에 따르면 LG화학은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전환 속도가 빨라지는 가운데 테슬라와 폭스바겐, GM, 현대차 등 주요 고객사들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수주량을 늘려왔다.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코나 리콜 관련 비용이 지난해 4분기에 반영되면서 품질 이슈 등 대부분의 악재가 소멸했다"며 "테슬라 배터리 공급과 폴란드 공장 생산량 확대 등 영향으로 호실적이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여기에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영업비밀 침해 소송에서 이긴 점도 실적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한 삼성SDI도 1분기 삼성SDI의 매출 2조9,934억원, 영업이익 1,615억원 수준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영업이익은 계절적 비수기 진입의 영향으로 직전 분기(2,462억원)보다 적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영업이익(540억원)보다는 175% 늘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SDI는 아직 흑자전환에 성공하지 못한 자동차용 배터리 사업이 올해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최대 완성차 기업 중 한 곳인 폭스바겐이 앞으로 각형 배터리에 집중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3사 중 유일하게 각형 배터리에 주력하는 삼성SDI가 장기적으로 수주량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2조5,000억원의 적자를 내며 사상 최악의 한 해를 보낸 SK이노이베이션은 올해 1분기 흑자전환이 점쳐진다.1분기 SK이노베이션의 시장 전망치는 매출 9조1,564억원, 영업이익 59억원이다. 배터리 사업 매출은 5,000억∼7,000억원 수준으로 예상돼 직전 분기(4,972억원)보다 늘고, 영업손실은 전 분기(1,089억원)와 비슷하거나 소폭 개선할 것으로 예상됐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4조∼4조5,000억원 규모로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이 중 70%가량을 배터리 사업과 리튬이온배터리분리막(LiBS) 사업에 사용할 계획이다. 다만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한 영업비밀 침해를 인정하며 10년간 미국 내 일부 배터리 제품 수입금지 명령을 내린 것은 악재로 남아있다.

양사는 배상금 규모를 두고 협상 중인데, LG 측은 약 2조8,000억원 수준의 배상금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록 기자 sarok@sedaily.com


양사록 기자 saro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