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월 항만 수출입 물동량 14개월만에 증가세 반등

석유·자동차 수출입 증가에 영향…컨테이너 물동량은 0.9% 감소


지난달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수출입 물동량이 지난 2019년 12월 이후 1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21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항만에서 처리한 수출입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1억 235만 톤)보다 0.4% 늘어난 1억 278만 톤으로 집계됐다. 최근 세계적 이산화탄소 저감 정책에 따라 석유가스 물동량이 증가하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친환경 자동차 수출이 늘면서 수출입 물동량은 소폭이기는 하지만 14개월 만에 반등했다.

2019년 12월까지 증가세를 나타냈던 수출입 물동량은 지난해 1월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올해 1월까지 계속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했다.



다만 수출입과 연안을 모두 합한 전체 항만의 지난달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1억 2,111만 톤)보다 2.3% 감소한 1억 1,830만 톤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지난달 전국 항만 물동량 중 컨테이너는 221만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 감소했다. 이 중 수출입은 0.6% 감소한 126만 TEU로 집계됐다. 환적은 1.0% 줄어든 93만 TEU를 나타냈다.

항만별로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3.4% 줄어든 167만 7,000TEU로 집계됐다. 수출입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9% 감소했지만 환적은 중국의 물량 증가에 힘입어 0.7% 증가했다. 광양항은 전년 동월(18만 7,000TEU) 대비 15.5% 감소한 15만 8,000TEU를 처리하는 데 그쳤다. 인천항은 36.4% 증가한 24만 6,000TEU를 처리했는데 지난해 2월과 7월에 새로 개설된 베트남과 중국의 새 항로에서 물동량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한편 지난달 전국 항만의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모두 7,959만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감소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