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해외 기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대량 생산하려면 반드시 경상북도 안동에 들러야 합니다.”
국내에서 글로벌 기업의 코로나19 백신 유통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한 관계자의 말이다. 그는 “안동의 백신산업클러스터에 대규모 세포배양 방식 백신 생산 시설이 구축돼 있다”며 “전 세계 백신 개발 업계가 한국에서 백신을 생산할 위탁생산(CMO) 업체를 찾을 때 안동을 주목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경상북도에 위치한 안동 경북바이오산업단지가 글로벌 코로나19 백신 생산 기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고 있는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및 동아시아 지역의 백신 공급 거점으로 안동을 첫 순위에 꼽을 정도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활약이 단연 두드러진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7월 아스트라제네카(AZ)와 코로나19 백신 CMO 계약을 체결, 국내에 공급되는 AZ 백신은 물론 글로벌 백신 공동 구매 기구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전 세계에 유통되는 AZ 백신 물량 생산 전체를 전담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노바백스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해 약 4,000만 도즈의 백신을 직접 생산한다. 글로벌 수급 변동성이 큰 완제품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할 수 있게 된 셈이다.
AZ와 노바백스가 글로벌 유수의 제약사들을 제쳐두고 안동의 SK바이오사이언스를 선택한 것은 이 회사가 선제적으로 투자해 세포배양 기반 시설을 갖췄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국내 백신 개발 및 생산은 유정란 생산 방식이 주류로 GC녹십자 등이 맡아왔다. 하지만 2009년 신종플루가 대유행하자 분위기가 바뀌었다. 안전성은 높지만 백신 개발 속도와 생산성이 다소 부족한 유정란 방식에서 벗어나 세포배양 방식 등으로 백신 생산 방식을 다각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던 것이다. 경북도는 이 점에 착안해 안동을 미래 백신 클러스터로 육성하기로 결정하고 전폭적인 지원에 나섰다. 장상길 경북도청 과학산업국장(당시 신성장산업과장)은 “2009년 전남 화순에 이미 GC녹십자의 대규모 백신 생산 시설이 갖춰져 있었기 때문에 관계 부처는 반대했었다”면서 “백신 기술을 다양화해야 감염병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여러 차례 설득했다”고 당시를 돌아봤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세포배양 백신에 대한 업계 인지도가 낮은 시기였지만 2011~2016년 약 4,000억 원을 투자해 약 6만 2,626㎡의 동물 세포배양 방식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2018~2022년에는 1,000억 원을 추가 투자해 연간 5억 도즈 생산이 가능한 공장을 증축했다. 장 국장은 “초기 수년간은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 가동률이 20~30% 수준에 불과했지만 메르스 등 다양한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원을 지속한 결과 갑작스러운 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신속하게 백신 생산이 가능한 역량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 역시 “초반 공장을 지을 때는 이렇게 크게 지어도 되나 하는 생각을 했지만 (덕분에) 코로나19에 대응할 수 있었다”며 “현재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의 5% 정도가 안동에서 나올 정도로 어마어마한 양을 생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준공된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역시 안동의 중요한 코로나19 백신 생산 시설 중 하나다. 경북도는 2017년 4월부터 총사업비 1,029억 원을 투입해 연면적 1만 6,120㎡, 3개 동, 생산 장비 152종 규모의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를 구축했다. 현재 백신 임상 시료 생산을 위한 허가 절차를 마치고 일부 시설이 가동되고 있다. 셀리드·스마젠 등 다수 국내 바이오 벤처들과 백신 위탁 업무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러시아 백신 생산 관련 업무도 이 센터에서 일부 이뤄질 예정이다. 러시아의 3호 코로나19 백신인 ‘코비박’의 국내 생산 등을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법인(SPC) 모스크바파트너스코퍼레이션(MPC)은 이날 “코비박을 개발한 러시아 연방 추마코프연구소 핵심 관계자들이 국내에 입국해 GC녹십자 오창 공장, 화순 공장 등과 함께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제조 시설을 확인한다”고 밝혔다.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는 현재 러시아 1호 백신 ‘스푸트니크V’의 생산을 위한 컨소시엄에도 참여하고 있는 만큼 협의가 완료되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코로나19 백신의 종류는 더 다양해질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는 최근 백신 연구, 인력 양성 등 백신 생태계 구축을 위한 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다. 우선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산하에 내년까지 정부와 경북도·안동시 등이 약 278억 원의 비용을 들여 백신상용화지원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센터는 백신의 효능을 평가하고 수율 개선 등을 지원한다. 또 내년부터 오는 2026년까지 5년간 1,320억 원의 비용을 투입해 ‘경북 바이오벤처 이노베이션 캠퍼스’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곳에서는 백신·바이오 특화 창업 성장을 지원하고 현장형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서지혜 기자 wis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