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중기 56.5%, ‘접대비’ 대체용어로 ‘대외활동비’ 선호

‘접대비’ 용어에 대한 중소기업 의견 설문





중소기업은 ‘접대비’를 대체할 용어로 ‘대외활동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중소기업중앙회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공동으로 중소기업 52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접대비’ 용어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 중기의 56.5%는 접대비 대체용어로 ‘대외활동비’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접대비를 대체할 용어로는 ‘대외협력비’(23.1%), ‘거래활동비’(16.5%), ‘거래증진비’(3.6%) 등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중기 10개사 중 8개사는 ‘물건을 주고 받는다’는 뜻의 ‘거래’라는 표현보다 실제 기업의 영업활동을 전부 포괄하는 개념인 ‘대외’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접대비 용어에 대한 이미지는 ‘부정적’(33.2%)이라는 응답이 ‘긍정적’(7.2%)보다 4.6배 높았다.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이유로는 ‘접대라는 용어는 현 시대에 부적절함’(44.6%), ‘기업 활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 유발’(42.3%), ‘실제 지출내용과 용어의 의미가 상이’(13.1%) 순이었다.

관련기사



접대비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으로는 중기 62.4%가 접대비 인정범위 및 한도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접대비 한도확대’(15.2%)보다 ‘접대비 인정범위 확대’(47.2%)를 희망하는 중기가 많았는데, 이는 실제 기업의 경비를 접대비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접대비로 인정되지 않는 등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승원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접대비는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쓰이는 비용임에도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 때문에 불필요한 오해를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며 “접대비 용어 변경은 기업 영업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코로나19로 위축된 내수경제를 진작시키기 위해서라도 접대비 대체용어 선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병욱 의원은 “기업 경영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지출하는 비용이 부정적인 뜻을 가진 ‘접대비’로 아직까지 쓰이고 있어 안타깝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접대비를 대체할 적절한 용어를 검토하고 조만간 입법발의를 추진하여, 기업이 경영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승 기자 yeonvic@sedaily.com


연승 기자 yeonvic@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