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이번엔 철광석…빛 발하는 포스코 '자원개발 사업'

濠 광산투자 배당 1,500억 받아

누적 2,700억…안정 수익 확보





포스코가 10년 전 투자했던 철광석 광산이 안정적 수익에 원료비 절감 효과까지 안겨주고 있다. 원자재 값이 고공 행진하면서 포스코의 자원 개발 사업이 더욱 빛을 발한다는 평가다.

29일 포스코에 따르면 로이힐홀딩스 이사회는 지난 25일 올 1분기 배당금을 분기 기준 최대치인 13억 5,000만 호주달러(약 1조 1,700억 원)로 결의했다. 포스코는 로이힐홀딩스 지분 12.5%를 보유해 1,500억 원을 오는 4월 지급받는다. 이로써 지난해 3분기 첫 배당금 500억 원 이후 누적 기준으로 2,700억 원을 받게 됐다.



최근 철광석 가격은 고공 행진을 하고 있다. 1분기 기준 철광석 가격은 톤당 160~170달러 수준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배 수준이다. 포스코는 이번 배당으로 철광석 값 상승으로 인한 원료비 구매 부담을 일정 부분 덜게 됐다. 로이힐홀딩스가 소유한 호주 서북부 필바라 지역에 위치한 로이힐 광산(사진)은 호주 최대 단일 광산이다. 철광석 매장량은 23억 톤이고 연간 5,500만 톤의 철광석을 생산한다.

관련기사



포스코는 대만 차이나스틸 등과 함께 2010년 로이힐 광산 개발에 참여했다. 당시 포스코는 대형 공급사들이 원료를 과점화하는 상황에서 철광석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1조 3,000억 원을 투자했다. 포스코는 한 해 필요 철광석의 25%에 해당하는 1,500만 톤을 로이힐로부터 공급받는다.

한편 이날 포스코는 독일 가스 공급 회사 RWE사로부터 탄소 중립 액화천연가스(LNG) 약 6만 4,000톤(1카고)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탄소 중립 LNG는 천연가스를 개발하고 공급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탄소크레디트(탄소 감축분)로 상쇄해 총 탄소 배출량을 ‘0(제로)’로 만든 그린가스를 일컫는 말이다. 지난해 12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포스코는 탄소 중립 LNG 도입 등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성과를 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실천해 나가고 있다.

지난 19일 광양제철소 LNG 터미널에서 RWE사로부터 도입한 ‘탄소중립 LNG’가 하역되고 있다./사진 제공=포스코지난 19일 광양제철소 LNG 터미널에서 RWE사로부터 도입한 ‘탄소중립 LNG’가 하역되고 있다./사진 제공=포스코


/서종갑 기자 gap@sedaily.com


서종갑 기자 gap@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