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해부터 ‘마을형 퇴비자원화시설’와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을 구축하고 가축분뇨 처리 및 비료생산 시설을 대폭 확충해 나갈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이 사업은 ‘경기도형 경축순환농업 추진방안’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경축순환농업은 농업인이 가축분뇨를 사용해 작물을 기르고 볏짚 등 각종 작물의 부산물을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는 농업이다. 가축분뇨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소하고 환경 관련 산업의 육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게 경기도의 설명이다.
과거 가축분뇨는 퇴비로 전환돼 토양에 양분을 공급의 중요한 축산 자원으로 쓰였다. 하지만 화학비료 사용량 증가와 농경지 감소로 인해 가축분뇨를 퇴비로 사용하는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면서 주요 축산농가는 분뇨 처리에 적잖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도는 우선 대규모 농경지주변을 중심으로 마을형 퇴비자원화시설 28곳을 확충하기로 했다. 이 시설은 1차 부숙을 거친 중기 이상의 퇴비를 저장한 뒤 추가로 부숙한다. 최종 부숙을 마친 퇴비는 마을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탈바꿈한다.
또 개별농가의 축분을 수집해 부숙한 후 농경지에 살포할 수 있는 비료 자원으로 만드는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14곳도 신규로 설치한다. 가축분뇨를 전문적으로 처리해 에너지로 만드는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8곳을 구축하고 고체연료화 시설 5곳도 확충할 계획이다.
시설 확충 사업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연차별로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이를 통해 연간 가축분뇨 340만톤 가량을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밖에도 가축분뇨 이력 관리제, 악취 없는 고형축분 비료 개발, 축분 퇴비 이용 증진을 위한 축종별 가축분뇨 관리체계 개편 등 경축순환농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성식 경기도 축산산림국장은 “경축순환농업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축산농가와 경종농가 간 신뢰와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축산농가에서도 적정한 규모의 가축을 사육하되 미생물 제재 등을 충분히 공급하고 주기적으로 퇴비창고에서 교반 작업을 실시하는 등 부숙도의 기준을 맞추는 노력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말했다.
/수원=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