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찰·교육당국, 하동 서당 '엽기폭행' 합동 전수조사

재발 방지 위해 제도권 편입 등 대책 마련

지난달 29일 경남 하동군 청학동 한 서당 입구. 해당 서당은 최근 학생간 폭력 문제가 발생했다. /연합뉴스지난달 29일 경남 하동군 청학동 한 서당 입구. 해당 서당은 최근 학생간 폭력 문제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청학동 ‘엽기 폭행’과 관련해 경찰과 교육 당국이 초등학생 60명, 중학생 41명 등 총 101명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경남경찰청과 도 교육청, 하동군청 등은 2일 하동 청학동 서당 입소자들을 대상으로 또 다른 피해는 없는지 등에 대한 합동전수조사에 나선다.



경남도교육청은 지난 1일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하동 서당에서 발생한 학교폭력에 대해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고소장이 접수된 상태로, 이번 실태조사는 관할 경찰에서 문항 등을 만들어 주도적으로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경남도교육청은 이번 전수조사와 별도로 서당 내 폭력 재발 방지를 위해 제도권 편입 등 근본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사건이 발생한 서당에서 건물의 일부를 학원으로 등록하고, 나머지 시설은 집단거주시설로 이용하면서 법과 제도의 관리 감독망을 교묘하게 벗어난 정황이 발견됐다. 현재 하동 지역에는 14개 서당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서당 인근 초등학교의 재학생 74명 중 61명(82%), 중학교 전교생 49명 중 39명(80%)이 서당에 거주하고 있고, 이들 학생은 △가정과 사회로부터 장기간 단절 △집단 하숙형 서당의 억압적 문화 △서당 측의 학생 관리 부실 등 상황에 놓여 있어 교육청의 관리 감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이에 경남도교육청은 하동군과 협력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주요 내용은 △서당 운영 관리 및 감독 강화를 위한 협업 체계 구축 △경찰과 연계한 신속하고 정확한 학교폭력 실태 긴급파악 및 피해 학생 지원을 위한 회복적 전수 조사 △학생·학부모 심리 치료 지원을 위한 전문 상담 전담팀 운영 △매년 4차례 학교폭력 전수조사 △찾아가는 학교폭력 예방 교육 강화 △초등학교에 전문상담사 배치 및 위클래스 구축 △중학교 공모교장 배치 및 자율학교 지정 △대안교육기관 및 특성화중학교로 전환 검토 등이다.

/강지수 인턴기자 jisukang@sedaily.com


강지수 인턴기자 jisukang@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