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무협, 수출 회복 위한 무역현장 자문위원 간담회 개최

수 십 년 경력 수출 베테랑들 中企 지원방안 논의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한국무역협회가 중소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무역현장 자문위원 간담회를 진행했다.



구자열 무협회장은 5일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무역현장 자문위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위원들이 중소기업의 수출과 무역애로의 해결사가 되어 주기를 당부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구 회장과 지역별 대표 자문위원 14명이 참석해 수출지원 성공경험과 현장애로 해소 사례를 공유했다. 협회의 무역현장 자문위원은 30여 년간 수출현장을 누빈 베테랑들로 총 70명이 전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구 회장은 “코로나19 이후 세계 경제는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과 글로벌 밸류체인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대전환의 기로에서 우리 기업들이 기술혁신과 패러다임 시프트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출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문위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수십 년간 세계 곳곳의 무역현장에서 쌓은 수출 노하우와 해외 마케팅 경험을 살려 우리 기업들의 수출 활력 회복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1990년대 초 LG상사 도쿄지사에서 구자열 회장과 함께 일했던 이석희 자문위원이 28년 만에 재회하기도 했다. 이 위원은 “구 회장님과는 1992년부터 3년 간 함께 근무했던 깊은 인연이 있는데 이렇게 무역협회에서 다시 만나게 돼 감회가 새롭다” 면서 “사명감을 갖고 그 어느 때보다 열정적으로 수출 기업을 도와 위기 극복에 앞장서겠다”며 각오를 밝혔다. 간담회에서는 간담회에서는 내수 판매만 해오던 다육식물 농장이 무역현장 자문위원의 도움으로 지난해 약 3만 달러 수출에 성공한 사례도 소개됐다. 박상길 무역협회 위원은 수출경험이 거의 없던 A사를 수시로 방문해 유망 해외바이어를 추천하고 국가별 바이어 검색 및 마케팅 방법 등을 지도했다. 제품 특성상 신선도 유지가 중요해 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 관세사와 함께 자유무역협정(FTA) 원산지 확인, 국가별 통관절차를 지원하는 한편 해외시장조사도 직접 수행했다. 박 위원은 “수년째 무역협회 자문위원 역할을 수행하며 가장 많이 느낀 것은 수출현장에 가보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매우 많다는 것”이라면서 “‘결국 해답은 현장에 있다’는 생각으로 발로 뛰어 중소기업들을 돕고, 나 스스로도 더 배워 나가겠다”고 밝혔다.

무역협회 무역현장 자문위원은 전국의 중소 수출기업들을 직접 방문해 해외바이어 발굴, 해외마케팅, 수출입 실무, 경영·리스크 관리 등 수출 전 과정과 무역애로 해결 등 심층 컨설팅을 제공한다. 이들은 전기전자, 기계, 화학·철강, 생활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에서 20~30년 동안 실무경험을 쌓아온 무역 전문가다. 지난해에는 직접 방문과 화상상담을 포함해 약 1만 5,000개 수출기업을 만났다. 특히 수출 경험이 없거나 수출 초기 단계인 중소기업 1000개사를 대상으로 집중 컨설팅을 제공했다. 자문위원의 도움으로 첫 수출에 성공한 기업은 지난해 462개로 매년 늘고 있다.

/이경운 기자 cloud@sedaily.com


이경운 기자 cloud@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