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영화 창의도시 부산, 차세대영상 글로벌 기술력 확보

ETRI 부산공동연구실의 사용자 선택형 입체미디어 서비스 기술, 국제표준으로 채택

국제 표준특허 창출 통한 영상미디어 스트리밍 시장 기술 우위 확보

2025년까지 5G·UHD, 영화, 디지털 사이니지 등 매체별 테스트베드 구축


부산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부산공동연구실에서 개발한 ‘사용자 선택형 입체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코드할당’이 지상파 디지털방송 표준위원회(ATSC) 국제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ETRI 부산공동연구실에서 개발한 ‘사용자 선택형 UHD 입체미디어 부호화 방식 원천기술의 서비스방안’ 을 국제 표준화함으로써 시청자 입장에서 선택적으로 초고화질 2D 또는 3D 미디어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다.

또 기존 방식대비 약 2배의 주파수 절감이 가능해 그동안 입체미디어 서비스 활성화에 큰 장애가 된 기존 서비스와의 호환성 및 스트림 송출 시 주파수 대역할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사용자 선택형 UHD 입체미디어 서비스 개념도./사진제공=ETRI 부산공동연구실 제공사용자 선택형 UHD 입체미디어 서비스 개념도./사진제공=ETRI 부산공동연구실 제공





이번에 채택된 국제표준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는 ‘2022년 부산국제단편영화제 비욘드 쇼츠 3D 입체영화 섹션’에 상영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5G·UHD, 영화, 디지털 사이니지 등 다양한 매체별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세계 최초로 사용자 선택형 UHD 입체미디어 스트리밍 시범서비스를 부산 전역에 시험 송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에 더해 부산시와 ETRI 부산공동연구실은 ‘차세대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개발 및 인프라 구축사업’을 국·시비 90억 원을 투입해 2021~2025년까지 진행한다. 초고화질 입체 미디어 서비스 개발·실증을 통한 차세대 스마트미디어 창작·유통 등 영상 산업 생태계 조성이 목표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시가 선제적으로 5G 기반의 OTT 플랫폼 환경에 대응해 초고화질 입체미디어 서비스의 상용화 시기를 앞당기고 지역 영상과 영화 산업군의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ETRI 부산공동연구실과 지역 협력사업을 계속 발굴해 부산지역 R&D 활성화 및 청년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