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코로나 백신 제조기술 제공 검토

'백신 디바이드' 돌파구 될수도

제약사는 반발 "생산물량 확대"

화이자 "알약형 치료제 올 출시"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27일(현지시간)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27일(현지시간)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미국이 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을 면제해 다른 나라에서도 생산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세계 백신 접종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화이자는 올해 안에 알약 형태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를 출시할 것으로 기대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7일(현지 시간) 브리핑에서 “이미 제안된 지재권 면제를 지지하는 등 전 세계에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백신 생산·공급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그러면서 “지재권 면제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지만 무엇이 가장 합당한지 평가해야 한다”며 “미 당국자들은 미국에서 백신 생산을 늘리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재권 적용을 중단해 각국에서 백신을 생산하는 것이 코로나19 종식에 더 나을지, 아니면 미국 내 백신 생산량을 늘려 다른 나라를 지원하는 게 나을지 검토 중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앞서 인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코로나19 백신이나 치료제와 관련한 지재권 규정 적용을 일시 면제해달라고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안했다. 그만큼 현재 ‘백신 디바이드’에 대한 문제 의식이 크다. WTO는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후속 회의를 30일 연다. 면제 찬성파는 회의를 앞두고 미국이 입장을 바꿔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반면 반대론자들은 WTO의 지식재산권협정(TRIPS) 면제로 백신의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고 새로운 곳에서 백신을 생산하면 기존 장소에서의 생산 증대에 필요한 자원이 약화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전날 백신 제조 업체인 화이자·아스트라제네카 측과 만나 이 문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제약사들은 지재권 적용 중단보다 백신 생산량 확대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상공회의소와 모더나·존슨앤드존슨·바이오앤테크 등도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제약사는 중국과 러시아의 신기술 탈취 우려를 반대 주장의 근거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화이자는 코로나19 사태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는 알약형 치료제를 올해 안에 출시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는 CNBC에 출연해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임상 시험이 잘 진행돼 미 식품의약국(FDA)의 사용 승인을 받는다면 연말까지 미국 전역에 보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화이자는 이달 초 FDA에 백신 사용 연령을 12∼15세로 확대해달라고 요청하는 한편 생후 6개월에서 11세까지 어린이용 백신을 계속 시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남성이 지난해 12월 미국 뉴욕 맨해튼의 화이자 본사 앞을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한 남성이 지난해 12월 미국 뉴욕 맨해튼의 화이자 본사 앞을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맹준호 기자 next@sedaily.com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