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을 면제해 다른 나라에서도 생산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세계 백신 접종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화이자는 올해 안에 알약 형태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를 출시할 것으로 기대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7일(현지 시간) 브리핑에서 “이미 제안된 지재권 면제를 지지하는 등 전 세계에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백신 생산·공급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그러면서 “지재권 면제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지만 무엇이 가장 합당한지 평가해야 한다”며 “미 당국자들은 미국에서 백신 생산을 늘리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재권 적용을 중단해 각국에서 백신을 생산하는 것이 코로나19 종식에 더 나을지, 아니면 미국 내 백신 생산량을 늘려 다른 나라를 지원하는 게 나을지 검토 중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앞서 인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코로나19 백신이나 치료제와 관련한 지재권 규정 적용을 일시 면제해달라고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안했다. 그만큼 현재 ‘백신 디바이드’에 대한 문제 의식이 크다. WTO는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후속 회의를 30일 연다. 면제 찬성파는 회의를 앞두고 미국이 입장을 바꿔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반면 반대론자들은 WTO의 지식재산권협정(TRIPS) 면제로 백신의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고 새로운 곳에서 백신을 생산하면 기존 장소에서의 생산 증대에 필요한 자원이 약화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전날 백신 제조 업체인 화이자·아스트라제네카 측과 만나 이 문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제약사들은 지재권 적용 중단보다 백신 생산량 확대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상공회의소와 모더나·존슨앤드존슨·바이오앤테크 등도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제약사는 중국과 러시아의 신기술 탈취 우려를 반대 주장의 근거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화이자는 코로나19 사태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는 알약형 치료제를 올해 안에 출시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는 CNBC에 출연해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임상 시험이 잘 진행돼 미 식품의약국(FDA)의 사용 승인을 받는다면 연말까지 미국 전역에 보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화이자는 이달 초 FDA에 백신 사용 연령을 12∼15세로 확대해달라고 요청하는 한편 생후 6개월에서 11세까지 어린이용 백신을 계속 시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맹준호 기자 next@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