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보모→아동돌봄이, 젖병→수유병 등으로 사용'

경기도,‘성차별 언어 개선’공모…6건 선정 발표

경기도청 전경경기도청 전경




경기도는 일상 속 성평등 의식을 높이기 위해 ‘성차별 언어 개선’ 공모를 진행한 결과 ‘보모→아동돌봄이(보육사)’ 등 6건을 최종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도는 가부장 중심주의, 남아선호사상 등의 잔재가 반영된 성차별 언어를 성평등 언어로 바꾸기 위해 지난 1일부터 16일까지 본 공모를 진행했다.

공모로 접수된 331건의 제안에 대해 도 여성정책과, 언어전문가, 여성단체 등이 개선 필요성, 공감성, 확산성 등을 기준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심사했다.



심사 득점순에 따라 보모→아동돌봄이·보육사, 여성적·남성적 어조→부드러운·강인한 어조 등 2건이 공동 최우수작으로 선정됐다. 이어 젖병→수유병이 우수작으로, 녹색어머니회→등굣길안전지킴이·등굣길안전도우미, 보모→육아보조인·유보사·유아돌보미, 녹색어머니회→안전 지킴이 등 3건이 장려로 각각 선정됐다.

관련기사



선정작 응모자들은 보모의 경우 아이를 돌보는 것이 여성의 역할이라는 편견을 담을 뿐만 아니라 남성 보육종사자를 배제한다는 의견이다. 또 국어 수업 과정에서 흔히 쓰이는 여성적 어조와 남성적 어조 역시 학생들에게 더욱 공고한 성별 고정관념을 심어준다고 했다.

젖병의 경우 여성의 신체 부위를 표현하기보다 수유 행위 자체에 초점을 두는 게 적절하다는 제안이었고, 녹색어머니회에 대해서는 어머니만이 아동의 양육자라는 고정관념을 유발하고 다양한 가족을 차별한다는 주장이었다.

이밖에 학부모 → 보호자·양육자, 맘카페 → 도담도담 카페, 여성전용주차장 → 배려주차구역, 앞치마 → 앞받이·보호티, 처녀막 → 질막, 죽부인 → 죽베개 등의 제안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도는 제안받은 용어를 중심으로 캠페인 영상을 제작, 도민의 성평등 용어 사용을 장려하고 성평등 의식을 확산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공모의 응모자 331명 중 지원자의 성별은 여성이 65.6%, 남성이 34.4%로 나타났다. 연령대는 10대(32%)가 가장 많았고, 40대(19.64%), 30대(19.36%), 20대(17.22%), 50대(7.25%), 60대(4.53%) 순으로 나타났다.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