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기자의 눈] 이마트 압도하는 광장시장의 힘






“마치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것 같습니다.” 유통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롯데마트 구리점이 폐점한다는 소식을 듣고 이같이 말했다.

한때 전국 매출 3위를 기록할 정도로 장사가 잘되던 롯데마트 구리점은 올해 초 구리시와 임대료 협상에 실패하고 폐점을 결정했다. 구리시가 임대료를 올렸는데 롯데마트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롯데마트가 거절한 임대료 사이를 비집고 들어온 것은 식자재 마트다. 경기도 시흥 지역이 거점인 ‘엘마트’는 롯데마트 구리점의 고용 승계도 약속했다.



엘마트가 대기업을 손쉽게 따돌릴 수 있었던 것은 식자재 마트들의 몸집이 그만큼 커졌다는 방증이다. 실제로 엘마트 시흥점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04억 원, 12억 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이다. 엘마트뿐 아니라 세계로마트·장보고식자재마트 등 다른 대형 식자재 마트도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식자재 마트의 약진은 전통 시장의 소상공인 덕분이다. 정확히 얘기하면 전통 시장을 보호하고 대형 마트를 규제하려는 유통산업발전법 때문이다. 중형급 식자재 마트는 출점에 별다른 제한이 없어 대형 마트가 사라진 상황에서 경쟁을 통해 전국에서 몸집을 크게 키웠다.

소비자 입장에선 당황스럽다. 잘 이용하던 대형 마트와 별반 다르지 않은 식자재 마트가 들어섰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또 규제를 들고 나온다. 식자재 마트도 월 2회 의무 휴업 적용 등이 포함됐다.

소비자들은 큰 불편함이 없다는 반응이다. 쿠팡이나 마켓컬리를 쓰면 된다는 생각이다. 식자재 마트가 휴업해도 싸고 좋은 시금치는 e커머스에서 주문하면 다음 날 바로 온다.

한쪽을 누르는 규제는 양화가 악화가 되는 길이다. 규제 덕분에 소상공인 매출이 올랐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마트를 죽이는 게 아니라 전통 시장의 가치를 키워야 한다. 추귀성 종로광장상점가진흥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올 초 들어 광장시장에 몰려드는 사람들로 걸을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육회·빈대떡 같은 광장시장만의 분명한 ‘아이템’은 근처 이마트 청계천점 식품 코너도 힘을 못 쓰게 한다.

/박호현 기자 greenlight@sedaily.com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