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올림픽 코앞인데…日 지자체 "해외 선수단 안 받겠다"

코로나19 대유행 속 의료 체계 붕괴 우려

도쿄올림픽 박물관에서 시민들이 오륜 조형물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모습. /AP연합뉴스도쿄올림픽 박물관에서 시민들이 오륜 조형물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모습. /AP연합뉴스




코로나19 대유행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일본의 일부 지자체가 해외 선수단에 숙소와 연습장을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일본 정부는 올림픽 정상 개최를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일본 내 부정적 여론은 점점 커지는 분위기다.



13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과 CNN 방송 등에 따르면 한 일본 정부 관계자는 도쿄올림픽·패럴림픽 호스트타운 528곳 중 40곳이 해외 선수단을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정부에 전했다. 호스트타운로 지정된 지자체는 올림픽 참가국이나 각국 선수단과 계약을 맺어 대회 전 합숙훈련 장소나 숙소를 제공한다. 지자체 입장에서는 올림픽 분위기를 고양하는 것은 물론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이유는 단연 코로나19 대유행이다. 특히 지자체들은 해외 선수단을 유치한 후 코로나19 감염이 심해질 경우 의료 체계가 마비될 수 있는 상황을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일본의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는 7,000명대를 기록하는 등 전국적으로 바이러스 확산세가 거센 상태다. 일본 정부는 의료 체계의 붕괴 위험이 높아진 도쿄와 오사카, 교토, 효고 등 일부 지역에 내려진 긴급사태를 이달 말까지 연장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 감염증 대책 분과회를 이끄는 오미 시게루 회장 역시 이날 “올림픽이 의료 체계에 얼마나 부담을 가하게 될 것인지 평가해야 한다”고 밝히며 우려의 뜻을 표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IOC와 일본 정부는 올림픽 정상 개최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전날 마크 애덤스 IOC 대변인은 엄격한 방역 수칙 속에서 안전한 올림픽 개최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달 이후 일본에서 12개의 테스트 이벤트가 열렸으며, 이 가운데는 올림픽 출전권을 위한 다이빙 월드컵이 열려 45개국에서 온 22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고 전했다. 또 올림픽 선수 대부분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것이며, 세계보건기구(WHO)도 올림픽 개최 계획에 대해 신뢰의 뜻을 표했다고 말했다.

/곽윤아 기자 ori@sedaily.com


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