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석탄발전소 없어지면…근로자 30% "재취업 못 한다"

류호정, 비정규직 근로자 3,634명 설문

50세 이상 근로자는 절반 “재취업 못해”

고용불안도 커져…“정부, 내달 말 대책”

서울환경연합 관계자들이 지난해 4월 29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석탄발전소 2030년 퇴출'을 주장하며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환경연합 관계자들이 지난해 4월 29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석탄발전소 2030년 퇴출'을 주장하며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탄소중립을 위해 석탄화력발전소 20기 폐쇄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석탄발전소 비정규직 근로자 10명 중 3명은 발전소가 사라지면 재취업을 못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50세 이상 근로자는 이 답변에 절반에 달했다. 정부는 내달 말 이 같은 산업 변화에 따른 고용지원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20일 류호정 정의당 국회의원이 공개한 연료환경운전, 경상정비, 청소 등을 하는 석탄발전소 비정규직 근로자 3,634명 설문조사에 따르면, 석탄발전소 폐쇄 시 33%는 “재취업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이 답변율은 50~60세 이상이 51.7%, 60세 이상이 57.2%로 올라갔다. 바로 “재취업이 가능하다”는 근로자는 1.3%에 불과했다. 근로자 가운데 51%는 가족 구성원이 4인 이상이다. 직장을 잃을 경우 가족 생계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재취업이 불가능한 이유를 묻자 “나이가 많다”는 답변이 52%로 가장 많았다. “인근에 직장이 없다”도 19.7%다. 석탄발전소 근로자는 도시에 비해 낙후된 발전소 주변에서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응답자의 42.5%는 출근시간이 30분 이내였다.

이미 근로자들은 상당한 고용불안을 느끼고 있다. 고용불안 여부에 대해 “그렇다”는 답변이 77%다. 석탄발전소 폐쇄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얻지 못하는 점도 원인이다. 석탄발전소 폐쇄 시점을 알고 있다는 근로자는 8.7%에 그쳤다.

류 의원은 “정부 정책을 근로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직업훈련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기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석탄산업은 변화가 빠르게 요구되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내달 말 노동이동체계 구축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ggm11@sedaily.com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