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국 흘린 피 잊어선 안 돼" 주장한 정청래 "훗날 민주주의 나무 크게 자라있길"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연합뉴스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연합뉴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지난 2019년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 벌어진 사태를 정리하는 저서 '조국의 시간'을 발간한다고 밝힌 것과 관련,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국이 흘린 피를 잊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먼훗날 그가 뿌린 피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나무가 크게 자라있기를 기대한다"면서 이렇게 적었다.

그러면서 정 의원은 "혁명보다 더 어려운 것이 개혁이라고 했다. 진보세력도 보수세력도 진영논리를 떠나 십수년전부터 검찰개혁을 말해왔다"면서 "안 믿으실지 모르지만 여야를 떠나 공수처 설치, 검경수사권 분리를 합창해왔었다"고 상황을 짚었다.

정 의원은 이어 "지금의 국민의힘 관계자들도 그 이전의 이분들 선배들도 수사기소 분리를 주장한 적이 많이 있다. 막상 실행하려고 하면 딴소리를 하고 방해를 했다"며 "검찰개혁론자로서, 검찰개혁 실행자로서 그가 겪었을 고초를 생생하게 느껴보겠다. 검찰개혁에 뛰어들지 않았으면 이런 일도 없었을텐데"라고도 했다.

아울러 정 의원은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라는 나무라고 한다. 그러나 그 나무는 아낌없이 자신의 몸뚱이를 내어주고 줄기도 가지도 이파리도 나눠준다"면서 "우리가 사는 오늘은 선배열사들이 그토록 열망했던 내일이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의 연속"이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덧붙여 정 의원은 "노예해방도, 여성의 투표권도, 일제치하 독립운동도 지금은 당연한 것이지만 그 당시는 피흘리며 싸워서 얻은 자유이고 가치"라면서 "그 당시 노예해방을 반대해서 전쟁도 했다. 여성에게 투표권을 주자는 사람들은 탄압을 받았다. 일제치하 독립투사들은 밀정과 일제에 목숨을 내걸었고 모진 고문도 당했다. 지금 생각하면 기막힌 역사"라고도 썼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연합뉴스조국 전 법무부 장관/연합뉴스




더불어 정 의원은 "(조 전 장관의 책) 다섯권 주문했다"며 "책을 받는대로 읽고 독후감을 올리겠다. 일독을 권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앞서 조 전 장관은 지난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저서 '조국의 시간: 아픔과 진실 말하지 못한 생각'을 한길사를 통해 다음 달 1일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발간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조 전 장관은 "장관 후보자로 벌어진 일련의 사태를 정리하고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책으로 출간한다"면서 "이유 불문하고 국론 분열을 초래한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사과 드린다"고 적었다.

조 전 장관은 또한 "오랜 성찰과 자숙의 시간을 보내며 조심스럽게 책을 준비했다"면서 "밝히고 싶었던 사실, 가슴 속에 담아뒀던 말을 털어놓고 나니 마음이 한결 가볍다"고도 했다.

아울러 조 전 장관은 "저의 시선에서 제가 겪고 있는 아픔의 역사를 기록해야겠다 생각했다"면서 "아직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지만 허위사실이 압도적으로 전파돼 있어 더 늦기 전에 최소한의 해명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책을 내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여기에 덧붙여 조 전 장관은 "그때의 상황, 감정이 되살아나 힘들었고 가족의 피에 펜을 찍어 써내려가는 심정이었지만 사실을 밝히고 싶어 꾹 참고 썼다"고도 했다.

더불어 조 전 장관은 "제가 누굴 만났단 게 알려지는 자체로 상대를 곤란하게 할 수 있었기에 사실상 유폐 상태에 들어갔다"며 "답답할 때는 밤공기를 쐬기도 하는데, 응원해주시는 시민을 만나 힘을 얻기도 하지만 느닷없이 다가와 욕설을 하는 사람과 마주치기도 한다"고 했다.

조 전 장관은 이어서 "책을 수백만 촛불 시민들께 바친다"면서 "권력기관 개혁, 그 중에서도 검찰개혁이라는 사명을 수행하다 비운을 만났지만 여러분의 응원이 있었기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조 전 장관은 그러면서 "지난달 재보선 이후 정치적으로 재소환돼, 여당 일각에서도 선거 패배가 '조국 탓'이라고 한다"면서 "전직 고위공직자로서 정무적·도의적 책임을 무제한으로 지겠다. 저를 밟고 전진하시길 바란다"고 썼다.

/김경훈 기자 styxx@sedaily.com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