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더 커지는 '탈당' 반발…"제물 바치는 잉카제국" "혐의 없는데 왜 탈당"

김한정 "野 압박용 불쏘시개 됐다"

"정치 이벤트로 부동산 못 잡아"

김회재 "피해 구제하는 권익위가

죄 없는 사람 억울하게 하고 있어"

오영훈 "오히려 징계절차 밟아랴"

더불어민주당이 국민권익위 전수조사 결과 부동산 불법거래 등 비위 의혹이 드러난 의원 12명 전원에 대해 자진탈당을 권유하기로 결정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의혹 대상에 오른 김한정 의원이 해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해 경기북부지방경찰청에서 '농지법 위반'으로 조사를 받았으나 '불송치(혐의없음)' 처분을 받았다고 이날 주장했다./성형주기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권익위 전수조사 결과 부동산 불법거래 등 비위 의혹이 드러난 의원 12명 전원에 대해 자진탈당을 권유하기로 결정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의혹 대상에 오른 김한정 의원이 해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해 경기북부지방경찰청에서 '농지법 위반'으로 조사를 받았으나 '불송치(혐의없음)' 처분을 받았다고 이날 주장했다./성형주기자




국민권익위원회 땅 투기 조사 결과에 따라 당 지도부로부터 '탈당 권유'를 받은 의원들이 지도부를 향한 날 선 비판들을 쏟아내고 있다. "제물 바치고 제사 지내는 잉카제국"이라는 거친 비판에서부터 "피해 구제하는 권익위원회가 오히려 죄 없는 사람 억울하게 만든다"는 등 발언의 수위가 점점 높아지는 모양새다.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당 지도부의 결정을 "제물 바치고 제사 지내게 지금 우리 대한민국이 잉카제국이냐"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부동산 문제는 이런 식으로 정치 이벤트나 단죄 효과로 바로 잡아질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정책을 제대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송영길 대표의 당의 대표로서 처지나 충정이나 심경을 모르는 바 아니다"라고 한 뒤 "그런데 결과적으로 지금 야당 압박용 불쏘시개 희생양 비슷하게 상황이 몰렸다"고 성토했다. 김 의원은 "당의 조사를 자청해서 받았고 경찰 조사를 받아서 결과도 보고를 했고 언론의 이런 저런 의혹을 다 반박했고. 추가로 해명할 게 뭐가 남았는지 사실 모르는 상황에서 '그래도 국민권익위에서 의혹 제기가 됐으니 미안하다, 일단 나가서 해결하고 돌아와라'고 하는 게 공당의 태도냐"고 쏘아붙였다.



김 의원은 "엄청난 명예훼손을 받았다"며 "국회의원도 지켜야 할 최소한의 명예와 인권이 있다"고 호소했다.

관련기사



부동산 명의 신탁 의혹을 받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해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성형주기자부동산 명의 신탁 의혹을 받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해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성형주기자


같은 당 김회재 의원은 비판의 화살을 권익위에 돌렸다. 그는 같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국민권익위가 할 일이 국민이 억울하게 피해를 당할 때 구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게 권익위인데 오히려 죄 없는 사람을 억울하게 만드는 행위를 했으니 그것을 취소해줘라, 만약 그렇지 않으면 법적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김회재 의원은 명의신탁 의혹을 받고 있다.

오영훈 의원은"혐의가 없는데 왜 탈당해야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날 다른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오히려 징계절차를 밟아주면 소명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징계를 요구했다. 오 의원은 "당 지도부에서는 ‘탈당하지 않으면 제명까지 갈 수 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는 질문에 “오히려 징계절차를 밟아주는 게 좋다고 본다"고 답했다. "당헌ㆍ당규에 명시된 징계절차를 밟게 되면 소명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이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통보받아 8일 공개한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의원들. 사진 맨 위 왼쪽부터 김주영, 김회재, 문진석, 윤미향 의원. 두 번째줄 왼쪽부터 김한정, 서영석, 임종성, 양이원영 의원. 마지막 줄 왼쪽부터 오영훈, 윤재갑, 김수흥, 우상호 의원. 한편 우상호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이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통보받아 8일 공개한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의원들. 사진 맨 위 왼쪽부터 김주영, 김회재, 문진석, 윤미향 의원. 두 번째줄 왼쪽부터 김한정, 서영석, 임종성, 양이원영 의원. 마지막 줄 왼쪽부터 오영훈, 윤재갑, 김수흥, 우상호 의원. 한편 우상호 의원은 "갑작스런 모친 사망으로 토지를 구입했고 포천시청에 문의해 가매장 한 뒤 묘지를 써 법 위반은 없던걸로 알고 있었다"며 수사기관에 적극 소명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오 의원은 제주도 과수원 부지를 두고 농지법 위반 의혹을 받고 있다. 오 의원은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으로, 국회의원이 되기 전까지 대대로 농사를 지었던 곳”이라며 “국회의원이 된 이후에는 농지은행을 통해 위탁경영하고 있다. 농식품부와 농지은행 담당자 모두 위법이 아니라는 답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또 권익위를 향해 “선대부터 내려온 땅에 대해 권익위가 왜 투기와 연결 짓는지 모르겠다”라며 “권익위가 한차례 공문을 보낸 뒤 추가 소명 자료 요청이나 연락조차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당을 향해서는 “당이 제기한 문제에 소명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며 “소명할 자신이 있고 준비돼 있다”고 강조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sedaily.com


김인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