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기차 패권' 꿈꾸는 현대차, 그랩 손잡고 동남아서 질주

정의선 회장 '新남방 경영' 본격화

모빌리티 시장 급성장 동남아에

수십억弗 들여 국가별 거점 확보

BaaS·CaaS 등 보급모델 다양화

싱가포르·인니 등으로 사업 넓혀

동남아 발판 '왕위 등극' 승부수

그랩 로고를 부착한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사진제공=그랩그랩 로고를 부착한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사진제공=그랩




현대자동차가 동남아의 ‘우버’로 불리는 모빌리티 서비스 기업 그랩과 손잡고 전기차 보급 확대에 나선다. 일본 자동차의 ‘제2 내수 시장’으로 여겨졌던 동남아 시장의 판을 흔들기 위한 정의선 현대차 회장의 ‘신남방 경영’이 본격화하는 것이다. 전기차 ‘한류’를 타고 현대차가 견고한 일본차의 벽을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3일 현대차그룹은 그랩과 모빌리티 서비스 부문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과 그랩은 전기차 보급과 관련한 공동 로드맵을 구축한다. 이와 함께 서비스형 배터리 모델(BaaS) 또는 서비스형 자동차(CaaS) 모델, 전기차 금융 등 새로운 전기차 사업모델을 시범 운용키로 했다. 시범사업은 올해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양사는 전기차와 관련한 사업타당성 조사도 실시한다. 이밖에 스마트시티 솔루션 등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과 신기술에 대한 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그랩과 지난 2018년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래 동남아에서 전기차 시장 공략에 힘을 쏟고 있다. 동남아는 젊은 인구가 많아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동남아의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은 중국·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현대차는 싱가포르 그랩에 코나 일렉트릭 200대를 배치했고, 인도네시아 그랩과는 수카르노-하타 국제공항에 아이오닉을 투입하기도 했다. 동남아 시장점유율 1위인 그랩은 글로벌 차량 공유 시장에서 중국 디디(DiDi), 미국 우버에 이은 3위다. 동남아 8개국 235개 도시에 진출해 동남아 시장점유율이 75%에 달한다. 김민성 현대차그룹 오픈이노베이션사업전략팀 상무는 “그랩이 보유한 운전자 네트워크와 현대차그룹의 포괄적인 모빌리티 솔루션이 합쳐지면 전기차 대중화는 물론, 지역 전체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현대차는 그랩과의 협력 확대를 통해 내연기관 시대에 넘볼 수 없던 일본 업체들의 동남아 패권을 허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일본 완성차 업체들은 동남아 승용차 시장의 60%를 점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선 80~90%가 일본차다. 현대차·기아는 동남아에서 한자릿수 점유율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전기차 시대에는 아직 뚜렷한 강자가 없다. 반전을 노릴 틈이 있는 것이다. 완성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기차의 신흥 허브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동남아에서 소비자들에게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이용 경험을 넓혀 시장을 선점하려는 계획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동남아 시장은 성장 잠재력도 크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앤설리번에 따르면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소속 국가의 소비자 1,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37%가 다음 차로 전기차를 구매할 것이라고 답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절반 가량이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동남아에서 활로를 찾으려는 현대차의 이같은 움직임은 정 회장이 주도하고 있다. 정 회장은 2017년 동남아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국가별로 거점을 마련하며 공략에 힘을 싣고 있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에서 약 15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완성차 공장을 짓고 있다. 연간 25만대 생산 규모의 인도네시아 공장은 올해 말 양산에 돌입, 내년부터 아세안 전략 모델 전기차를 생산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1조원 가량을 투자해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도 설립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싱가포르에 건설 중인 현대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는 아세안 전략 모델 전기차 생산 플랫폼을 테스트하는 역할을 맡게 될 전망이다. 내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HMGICs에는 소규모 전기차 시범 생산 체계를 갖추고 지능형 제조 플랫폼을 실증할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계획이다.

/한동희 기자 dwise@sedaily.com


한동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