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인세 논란에…출협 "저자-출판사 도서판매정보 공유시스템 만들 것”

윤철호 회장 기자 간담

7월부터 시범 참여사 모집

표준계약서도 전면 재검토

윤철호 대한출판문화협회장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한출판문화협회에서 열린 '최근 출판현안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윤철호 대한출판문화협회장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한출판문화협회에서 열린 '최근 출판현안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대한출판문화협회(이하 출협)가 30일 저자와 출판사가 함께 쓸 수 있는 도서판매 정보 시스템을 구축·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서 ‘노예계약’이라는 비판을 받아 온 출판 표준계약서를 개선하는 작업에도 적극 참여하겠다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윤철호 출협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소재 출협 대강당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먼저 윤 회장은 최근 장강명·임홍택 작가 등이 출판사와 겪은 인세 문제 등을 언급하고 “인세 지급 지연 및 계약 위반 등의 문제가 자주 드러나고 있다”며 “저자와 출판사의 신뢰, 나아가 출판 산업 발전에 대단히 해악적인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과거 도서판매 정보는 3개월, 6개월, 1년 단위 인세 지급 계약 기간을 중심으로 이뤄졌는데 이는 신속성이나 투명성에서 많은 부족함을 느끼게 만드는 게 사실”이라면서 “다만 출판사도 도서판매 정보를 정확히 알고 있지는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각 출판사들이 (주요) 서점들로부터 받고 있는 정보를 완전하든 불완전하든 저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며 “저자와 출판사가 합의만 한다면 저자들은 출협 홈페이지를 통해 판매 부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고 부연했다. 전국 모든 서점의 정보 파악은 어렵지만 적어도 단행본 매출의 70% 정도는 당장 확인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출협은 이를 위해 협회 산하의 도서판매정보 공유센터를 만들어 운영하고, 저자와 출판인, 외부 인사들이 참여하는 운영위원회를 구성, 센터가 이들의 감시 감독을 받게 할 방침이다. 시범 참여 출판사는 다음 달 1일부터 모집하고, 8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참여사를 늘릴 계획이다.

아울러 윤 회장은 출판 표준계약서를 전면 재검토해 수정 작업에 동참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저작자들은 물론 출판인들 내부에서도 여러가지 지적된 점들이 있었다”며 “출판계 안팎의 의견을 수렴해 수정 계약서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