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자율주행 화물운송을 위한 물류 기반을 마련한다. 또 전국 주요항만에 하역과 이송·보관 등이 자동화된 스마트 항만 시설을 갖춰 우리나라 물류 경쟁력 지수를 현재 글로벌 25위에서 10위권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는 1일 열린 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5차 국가물류기본계획(2021∼2030)’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가물류기본계획은 육상·항공·해운 등 국가 물류정책의 기본방향을 담은 10년 단위 최상위 계획으로 5년마다 수립된다.
정부는 이번 계획의 비전으로 ‘물류산업의 스마트·디지털 혁신 성장과 상생 생태계 조성을 통한 글로벌 물류 선도국가 도약’을 내세웠으며 △물류산업 첨단화·디지털화 △공유·연계 융복합 인프라 △지속 가능한 물류 △사람 중심의 좋은 일자리 △미래 대응력 및 체질 개선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을 목표로 설정했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정부는 오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인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화물차 자율주행 실증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간선 물류 수송은 자율주행 화물차가 전담하도록 도시와 고속도로 인접지에 자율주행 화물차용 물류 인프라를 구축한다. 도심 운송이 가능한 로봇 등 신규 운송 수단을 개발하고 지하 물류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R&D) 사업도 추진한다. 공공물류 시설 활용 기술 개발 등에 2027년까지 1,461억원을 투입하는 한편 도시개발 계획 단계에서 사전적으로 생활물류시설을 확보하도록 할 방침이다.
저온유통 체계인 ‘콜드체인’ 보급 확대를 위한 화물 상태정보 관제·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콜드체인 특화 전문기업도 육성하기로 했다. 물류 시설·장비 자동화, 물류 규격 표준화, 물류 정보 디지털화를 통해 물류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도 높인다. 또 2025년까지 원격제어가 가능한 부분 자율운항선박을, 2030년까지 완전자율운항선박 개발을 각각 추진한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물류사업 IT 활용지수를 39.6에서 66.1로 끌어올릴 계획”이라며 “향후 10년간 물류산업 일자리 수는 64만5,000명에서 97만명으로, 물류산업 매출액은 91조9,000억원에서 140조원으로 각각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