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남성, 여성보다 코로나에 취약하다…중증 악화 가능성 높아"

美 연구진, 뉴욕 입원환자 4,900명 분석 결과

男, 중환자실 치료비율·입원기간·사망률 높아

지난달 10일 워싱턴의 유나이티브 메디컬 센터에서 야외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 /EPA연합뉴스지난달 10일 워싱턴의 유나이티브 메디컬 센터에서 야외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 /EPA연합뉴스





남성이 여성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릴 경우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크다는 미국 연구진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주 마운트 사이나이 의대의 토미 준 박사 등 연구진은 30일(현지시간) 저널 ‘커뮤니케이션스 메디슨(Communications Medicine)’에 이같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관련기사



연구진은 작년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초기부터 그해 8월 5일까지 코로나19 감염으로 뉴욕시 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18세 이상 4,930명(남성 2,757명, 여성 2,173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분석 결과 대상 환자의 24.3%(1,198명)가 사망했는데 남성 사망률이 25.2%로 여성 23.1%보다 높았다. 사망하지 않은 환자들의 입원 기간 중간값은 6일이었는데 남성이 6.2일로 여성(5.7일)보다 길었다.

또 중환자실 수준의 치료를 받은 비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26.7%로 여성 20.3%보다 높았다. 분석 환자 중 남성의 평균 연령은 여성보다 낮았다. 또 남성은 코로나19 관련 비만, 고혈압 등의 위험 요인이 여성보다 적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로이터는 이 연구 결과에 대해 "건강 상태와 상관없이 남성이 여성보다 코로나19로 심각한 결과를 경험할 위험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연구진은 작년 8월 초부터 올해 1월 중순까지 뉴욕시에서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1,645명을 분석해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연구진은 이번 분석이 코로나19 환자의 증상 지속 기간을 비롯해 입원 전 임상 요인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제약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증상과 관련한 성별 차이의 원인을 설명하려면 더 큰 규모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신원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