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심상찮은 원어민 강사발 집단감염…"델타변이 수도권 확산 시간문제"

확진자 6개월 만에 800명대

새 거리두기 적용 쉽지 않을듯


최근 ‘원어민 강사발’ 집단감염으로 확진자 수가 6개월 만에 800명대에 돌입한 가운데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수도권 확산은 시간 문제라는 부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기존 바이러스의 1.5배에 달하는 전파력을 가진 델타 변이의 확산세를 차단하지 못할 경우 지난해 말 ‘3차 대유행’ 시기처럼 의료 체계 역량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현재 수도권의 유행 상황이 굉장히 위험하고 엄중한 상황”이라며 “수도권에서도 델타 바이러스가 확인돼 현 시점에서 유행을 차단하지 않으면 대규모 유행으로 전파될 위험이 크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날 정 청장이 이례적으로 담화문을 발표한 것은 지난달 19일 서울 마포구 유흥주점에서 시작된 원어민 강사발 집단감염 여파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이날 원어민 강사발 집단감염 누적 확진자는 245명으로 성남·의정부·고양 등 경기도 전역뿐 아니라 부산의 한 주점에서도 추가 전파가 확인됐다.

집단감염 여파로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826명으로 6개월 만에 800명대를 기록했다. 최근 1주일간(6월 26~7월 2일) 하루 평균 확진자는 653명으로 전주(489명) 대비 34% 늘었으며, 수도권의 같은 기간 하루 평균 확진자는 509명을 기록했다. 이는 오는 8일부터 적용 예정인 사회적 거리 두기 개편안 기준으로 3단계(수도권 500명 이상) 범위에 진입한 수치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서는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 개편안 적용이 다음 주에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당초 이달 1일부터 거리 두기 개편안을 전국적으로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집단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서울·경기·인천에 대해서는 적용 시점을 8일 이후로 미뤘다. 현재 수도권을 포함해 전국의 기초재생산지수(확진자 1명이 주변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보여주는 지표)가 1.2를 넘어서는 등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어 방역 수칙 완화를 전제로 하는 개편안 적용에 대한 반발이 예상된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제2부본부장은 “지난해 신천지, (서울 도심) 집회의 폭발적 증가가 소규모·대규모 유행으로 이어졌고 이를 억제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며 "델타 변이의 전파력을 볼 때 수도권 내 델타 변이 확산은 시간 문제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취약계층으로 흘러들어가 위중증 환자, 사망자도 증가시킬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