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정부의 늑장 확보에 백신 '오픈런'까지

■김성태 바이오IT부 기자

지난달 29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 앞에서 샤넬 매장을 찾은 고객들이 줄을 서 있다./연합뉴스지난달 29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 앞에서 샤넬 매장을 찾은 고객들이 줄을 서 있다./연합뉴스




백화점 문이 열리자마자 쇼핑하기 위해 상품 매장으로 달려가는 상황을 말하는 ‘오픈런’. 지난해부터 샤넬·에르메스 등 명품 매장에 줄을 서는 현상이 늘면서 자주 쓰인다. 오픈런은 명품 매장에서만 볼 수 있는 현상은 아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9월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모평) 접수 1분 마감 사태가 대표적이다. 9월 모평에 응시하면 화이자 백신을 맞을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신청자가 대거 몰려 일부 학원에서는 수험생 접수가 1분 만에 끝났다. 강남하이퍼학원의 경우 모집한 150명 중 42%가 25세 이상이었다. 수험생이 아니지만 화이자 백신을 빨리 맞기 위해 시험에 응시하는 사례가 발생한 것이다. 정작 모평을 통해 자신의 학습 능력 위치를 파악해야 하는 수험생이나 시험 결과에 맞춰 수능 난이도를 조절해야 하는 교육 당국은 피해를 입게 됐다. ‘잔여 백신’ 예약에도 이 같은 일이 발생했다. 인맥을 활용한 백신 접종, 매크로(자동 반복) 프로그램을 동원한 예약 등 여러 ‘무용담’이 넘쳐난다.

관련기사



‘백신 오픈런’이 나타난 이유는 충분한 백신 물량을 확보하지 못한 정부 탓이다. 정부는 백신 1억 9,300만 회분을 확보했다고 밝혔지만 상반기에 도입 완료된 백신은 1,862만 회분뿐이다. 상반기에 총확보량의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물량만 접종 현장에 들어온 것이다. 하루에 약 88만 명을 접종했던 의료 역량도 현재는 ‘개점 휴업 상황’이다.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은 지난 5월 퇴임 후 첫 강연에서 “백신 도입에 우리가 좀 늦었다”며 “우리가 ‘국제사회의 한 책임 있는 나라의 역할을 하자’고 해 그 논의에 적극 참여했다. (하지만) 어느덧 보니 다른 나라들이 다 먼저 (백신을) 선점한 상황이 됐다”고 설명했다.

백신 오픈런을 해야 할 주체는 국민이 아니라 정부다. 하루라도 빨리 더 많은 백신을 도입해야 한다. 변이 바이러스 대응에도 지각하면 안 된다. 국민의 생명이 달린 일이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