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감사원도 못 잡는 회계오류가 매년 10조원

지난 9년간 국가재무제표 전기오류수정손익 90조

국토부가 최대 부처…33조원으로 전체의 36.7%

양경숙 의원 “감사원·부처별 회계 관리 검토해야”






감사원이 국가 세입·세출 결산 회계검사를 통해서 찾아내지 못하는 회계 오류가 매년 평균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 9년간 국토교통부(국토부)에서 발생한 오류수정손익이 전체 규모의 36.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1일 국회 예산정책처로부터 받은 국가재무제표 전기오류수정손익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9년간 발생한 전기오류수정손익이 총 90조4,000억 원에 달한다. 전기오류수정손익이란 감사원이 회계검사 기간 내 잡지 못해 이후 추가로 발견한 경우 수정하는 회계 오류를 뜻한다. 연도별 전기오류수정손익 규모는 △9조원(2020년) △6조9,000억원(2019년) △8조8,000억원(2018년) △15조9,000억원(2017년) △7조3,000억원(2016년) △11조,9000억원(2015년) 13조6,000억원(2014년) △4조4,000억원(2015년) △12조6,000억원(2012년)이다.

특히 국토부에서 지난 9년 간 발생한 회계 오류 규모는 총 33조1,78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처별 회계 오류 규모는 △국방부 28조1,004억 원(31.1%) △해양수산부 8조7,545억 원(9.7%) △농림축산식품부 5조156억 원 (5.5%) 순으로 나타났다. 국토부의 경우 자산 실태 조사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정정하거나 장기 미정리 계정을 정리하면서 전기오류수정손익이 다량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양 의원은 “매년 수 조 원의 전기오류수정손익이 발생하는데 이는 국가회계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며 “감사원의 결산검사가 적정하게 수행됐는 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동시에 전기오류수정손익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국토부·국방부 등 부처에 대해서는 단계별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