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AZ 거부했다는 北, 이번엔 美 향해 "인도주의 지원, 정치 악용 말라"

"인도적 지원, 인권과 연관시키는 것은 주권국가 압박 합법화 의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북한 외무성이 11일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를 향해 코로나19 백신 관련 인도적 지원을 구실로 인권 문제를 들먹이지 말라고 비판했다.



외무성은 이날 홈페이지에 강현철 국제경제·기술교류촉진협회 상급연구사 명의로 글을 올려 미국의 인도적 지원을 두고 “인류의 이러한 불행과 고통을 불순한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려는데 악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많은 나라는 미국의 '원조'와 '인도주의 지원'에 많은 기대를 걸다가 쓰디쓴 맛을 봤다'며 “인도주의 지원은 그 어떤 경우에도 불순한 정치적 목적에 악용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강 연구사는 전문가들의 입을 빌어 “미국이 인도주의 지원 문제를 거론할 때마다 외우곤 하는 인권 문제는 다른 나라에 대한 내정간섭을 실현하기 위한 구실에 불과하다”며 “미국이 인도주의 지원을 인권 문제와 연관시키는 속심이 주권국가에 대한 압박을 합법화하고 불순한 정책적 기도를 실현하려는데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의 인도주의 지원이란 다른 나라들을 정치·경제적으로 예속하기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미국 대외원조법과 상호안전보장법 조항을 나열한 후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팔레스타인, 캄보디아 등 미국이 경제적 지원을 중단·취소했던 전례를 언급했다.

북한의 이런 반응은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공급 등 대북 인도적 지원 가능성이 언급되는 가운데 나왔다. 즉, 미국이 북한의 인권 문제를 건드리는 한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한 각종 인도적 지원을 거부하고, 자력갱생에 골몰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현재 북한은 중국산 백신은 불신해 도입을 주저하고 있고, 코백스(COVAX)가 지원하겠다고 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은 부작용을 우려해 다른 백신 지원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