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윤석열 아내 '쥴리' 논란에 이언주 "'아내의 과거'에 대한 공방, 이 무슨 찌질한…"

윤석열(왼쪽) 전 검찰총장과 아내 김건희씨/사진=청와대사진기자단윤석열(왼쪽) 전 검찰총장과 아내 김건희씨/사진=청와대사진기자단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반문(반문재인) 연대를 통한 정권교체'를 기치로 들고 대선 출사표를 던진 가운데 정치권을 흔들고 있는 윤 전 총장의 부인 김건희씨를 둘러싼 이른바 '쥴리' 논란과 관련, 이언주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이 "'아내의 과거'에 대한 공방이라니, 이 무슨 찌질한 공방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전 의원은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불법이나 권력남용 등 공적으로 문제되는 사안이야 대통령이 되고자 하는 자나 그 배우자라면 응당 검증을 받아야 한다"며 "그러나 배우자의 과거의 사생활이나 직업의 귀천까지도 검증의 대상인가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어렵다"면서 이렇게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전 의원은 "대한민국은 신분제 사회가 아니다. 일자무식한 자라도, 재산이 한푼도 없어도 그럴싸한 직업이 없어도 주권자인 국민이 선출하면 대통령도 되고 영부인도 되는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라며 "최근 야권 대권주자로 지지율 1위를 달리는 윤석열에 대한 검증이 뜨겁다. 그런데 그 배우자의 과거 사생활과 직업에 대해서도 온갖 풍문이 떠돈다. 지극히 개인적인 얘기"라고 상황을 짚었다.

이 전 의원은 또한 "오죽 답답했으면 스스로 인터뷰를 자처했을까 싶다"며 "그런데 대통령 부인의 자격이 되는 직업이 따로 있었나. 그 풍문의 사실 여부를 떠나 그런 게 얘깃거리가 되고 해명 인터뷰를 고민할 수 밖에 없는 대한민국의 현실이 웃프다"고도 적었다.

아울러 이 전 의원은 "도발적 질문을 하나 던지자면, 과거 줄리였으면 어떻고 아니면 어떤가"라면서 "그것이 각자의 의견은 있을지언정 내놓고 방송에서 공인들이 왈가왈부할 대통령 가족의 자격요건이라도 되나? 그것이 진정 우리 헌법의 정신인가"라고 말했다.

이언주 전 미래통합당 의원/연합뉴스이언주 전 미래통합당 의원/연합뉴스




여기에 덧붙여 이 전 의원은 "공적 검증과 하등 무관한 그 풍문을 키득거리며 공유하고 음험한 눈빛을 교환하며 즐기기까지 하는 행태가 낯뜨겁다"고 지적한 뒤 "남자의 유흥은 눈감아도 여자의 과거는 들추는 우리 사회의 추악한 이중성을 엿보는 듯해서 영 불편하다. 그 이면에는 여성 비하가, 가부장적 사회의 위선이 깔려있다"고 날을 세웠다.

관련기사



더불어 이 전 의원은 "과거 노무현 대통령도 가방끈 짧다고 기득권세력들이 여야없이 무시했던 기억이 나지만 그의 솔직하고 담백한 품성 때문에 많은 국민들의 사랑을 받았다"면서 "그러니 그녀도 눈치보며 그까짓 겉포장에 연연하지 말고 의연하길 바란다"고 적었다.

이 전 의원은 이어서 윤 전 총장을 향해 "장모 범죄야 선을 그을 일이라도, 아내의 과거는 성격이 다르다"면서 "'나는 내 아내가 과거 쥴리였던 아니던 변함없이 사랑한다'고 말하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전 의원은 "유권자들은 그 한마디에 인간 윤석열을 다시 보게 될 것"이라면서 "모두들 그녀의 전시회기획 아이디어 등 재기발랄하고 당찬 중년 여성의 홀로서기를 보며 응원을 하든, 그녀의 태도에서 또 다른 비판지점을 찾아내든 좀 쿨하게 대응하면 좋겠다"면서 글을 마무리했다.

앞서 윤 전 총장의 아내 김씨는 최근 불거진 '윤석열 X파일'의 내용에 대해 "소설"이라고 일축했다.

김씨는 지난달 30일 뉴스버스와의 전화인터뷰에서 "다 가짜로 판명날 것, 거짓은 오래가지 못한다"라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러면서 김씨는 특히 '강남 유흥주점의 접객원 쥴리였다'는 X파일 내용에 대해선 "기가 막힌다"면서 "제가 쥴리니 어디 호텔에 호스티스니 별 얘기 다 나오는데 기가 막힌 얘기다. 소문에는 제가 거기서 몇 년동안 일을 했고 거기서 에이스였다고 하지만 저는 그런 미인파가 아니다"고도 했다.

김씨는 이어 "저는 원래 좀 남자 같고 털털한 스타일이고, 오히려 일중독인 사람"이라면서 "그래서 석사학위 두 개나 받고 박사학위까지 받고, 대학 강의 나가고 사업하느라 정말 쥴리를 하고 싶어도 제가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씨는 "제가 쥴리였으면 거기서 일했던 쥴리를 기억하는 분이나 보셨다고 하는 분이 나올 것"이라며 "이건 그냥 누가 소설을 쓴 것"이라고 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