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韓지배구조 특수성 반영한 ESG 공시기준 나와야”

[김진귀 삼정KPMG ESG CoE 전무 인터뷰]

"IFRS재단서 ISSB 설립 등 ESG 공시정책 본격화

外人 국내 지배구조 오해 소지...인재 파견해야

그린워싱 위험에 ESG 공시 사회적 책임 커져

ESG 공시 인증 업무 중요도 점차 커질 전망"

삼정KPMG ESG비즈니스그룹 내 정보공시·인증 CoE 담당 파트너 회계사들이 서울 강남구 강남파이낸스센터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시우(왼쪽부터) 상무, 황정환 상무, 김진귀 전무, 정재욱 상무. /권욱 기자삼정KPMG ESG비즈니스그룹 내 정보공시·인증 CoE 담당 파트너 회계사들이 서울 강남구 강남파이낸스센터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시우(왼쪽부터) 상무, 황정환 상무, 김진귀 전무, 정재욱 상무. /권욱 기자




“한국의 특수성이 반영된 지배구조가 외부 투자자들에게 오해 없이 전달되도록 국제 회계 관련 기구의 비재무 정보 공시 기준이 나와야 합니다.”

김진귀 삼정KPMG 전무는 최근 서울 강남구 역삼동 강남파이낸스센터에서 서울경제와 만나 ‘한국형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발전을 위한 국제 회계 기구 활동을 강조했다. 김 전무는 삼정KPMG ESG비즈니스그룹 내 정보공시·인증 CoE(Center of Excellence·전문가 조직)를 총괄하고 있다. 이 조직은 삼성전자·SK텔레콤·네이버·두산인프라코어 등의 ESG 공시·인증 자문을 맡아왔다.



김 전무는 국제회계기준(IFRS)재단이 오는 11월 설립하는 국제지속가능성표준위원회(ISSB)에 우리나라만의 특수한 ESG 사정을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ESG 가운데 유독 독특한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며 “ISSB가 공시 기준을 만들 때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ISSB에 한국인 전문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IFRS재단은 우리나라 등 총 166개국이 사용하는 회계 기준을 제정·관리하는 곳이다. ISSB에서 마련할 예정인 비재무 정보 공시 기준이 향후 글로벌 ESG 시장에서 통용될 가능성이 높다. 기존에도 GRI·SASB 등 여러 기준이 있었지만 특별히 ‘헤게모니’를 쥔 표준은 없었다. 인터뷰에 동석한 황정환 삼정KPMG 상무는 “레고로 비유하면 기존에는 통일된 밑그림 없이 GRI에서 한 블록, SASB에서 다른 한 블록을 조합해 ESG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식이었다”며 “이를 IFRS재단에서는 일관된 보고 기준(baseline)을 제공해 비교 가능성이 있는 ‘한 세트’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금융위원회·한국회계기준원이 최근 ISSB 한국 후보 인재 풀을 꾸리는 등 대응에 나선 이유다.

ISSB 발족을 계기로 ESG 인증 업무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ESG 인증은 각 기업들이 내놓은 ESG 보고서·공시가 제대로 쓰였는지를 검증한다. 김 전무는 “제대로 된 공시 기준이 마련돼야 ESG 관련 보고서를 잘 작성할 수 있어 인증에 대한 수요도 커진다”고 말했다.

그는 ‘그린워싱’처럼 ESG 수준을 속여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김 전무는 “ESG가 신용 평가에도 반영되는 민감한 정보가 되다 보니 신뢰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다”며 “재무 보고에서 분식 회계를 중대한 문제로 다루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국내외적으로 ESG 공시 정책이 강화되는 것도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한다. 김 전무는 “5년 내로 ESG 공시 인증이 본격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상무는 “우리나라의 경우 오는 2025년부터 자산 2조 원 이상인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에 ESG 공시 의무가 주어진다”며 “지금보다 더 높은 수준의 인증 수요가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계 정보에 ESG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가 논쟁 대상이 될 것이라는 해석도 내놓았다. 단기적으로는 탄소 배출권 자산·부채 회계 처리 문제가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김 전무는 “(탄소 배출권 문제는) 국가·기업별로 유불리가 민감한 이슈”라며 “배출권 가격 측정 등 회계 처리상 어려운 부분도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