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안양시, 전국 대표안전도시에 선정…최대호 시장 "‘여성안전폴리스’사업 지속 추진"

여성안전이 행복으로 가는 길…안전한 행복도시 조성 팔 걷어

스마트폰 안전귀가·여성거주지 안심·여성무인택배함 등 설치





안양은 그 어느 도시보다 안전한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



최대호 안양시장이 도시 안전에 온 힘을 기울인 성과로 풀이된다. 특히 최 시장은 여성의 안전이 모두의 안전이자

행복이라는 신념으로 여성안전에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최 시장의 이런 노력에 대해 안양시가 최근 시민을 대상으로 시행한 여론조사에 여실히 입증받았다. 민선 7기 3년에 관해 가장 떠오르는 이미지로 안전(36.4%)을 꼽았기 때문이다.

안양시는 시청사 7층에 설치된 스마트도시통합센터(옛 U통합상황실)를 중심으로 사회적 약자로 꼽히는 여성과 노년층을 위한 맞춤형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에 매진해오고 있다.

특히 시는 국토교통부가 이달들어 진행한 ‘스마트시티 온라인투어’에서 전국의 대표적 안전도시로 선정됐다. 이 때문에 시의 독거노인 스마트안심서비스와 스마트안전귀가서비스 시행 장면이 영상으로 제작,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종합포털에 게시돼 운영 중이다.

비상벨이 설치된 안심주차장비상벨이 설치된 안심주차장


◇스마트폰 안전귀가…안전 트레이드 마크= 스마트폰 안전귀가서비스는 안양시의 트레이드마크와도 같은 안전시스템이다. 스마트폰의 앱과 CCTV를 연계해 각종 범죄에 대비할 수 있어 야간시간대 주택가나 골목길을 걷는 여성들에게 유용하다.

지난 2월까지 앱 다운로드 횟수가 1만5,200여회에 달했다. 현재 경기도 16개 지자체가 공동 활용하고 있고, 국토교통부 통합플랫폼 구축을 통해 전국으로 확대를 앞둔 상태다.

지난달에는 안전 귀가 앱과 법무부 전자감독시스템(전자발찌 위치추적센터)간 실시간 연계체계를 구축하며 더욱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안양 관양2동에 설치한 안심택배함안양 관양2동에 설치한 안심택배함



여성거주 가정에 설치된 안심단말기는 외부 침입 시 동작감시센서를 활용, 휴대폰 메시지 전송 및 관제센터(스마트도시통합센터) 연결로 보호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주로 혼자 사는 여성가정에 361대가 설치돼 있다.

관련기사



고령자 응급실 긴급 이송을 위한 스마트안심서비스는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 1,200대가 배부됐다. 사업을 첫 시행한 2019부터 지금까지 101명이 이 서비스로 응급조치를 받아 생명을 보존할 수 있었다.

◇여성운전자 안심 단말기…공중화장실 42곳에 비상벨 등 설치= 대중교통을 운전하는 여성운전자를 운전방해나 폭행으로부터 보호하고 승객들의 안전도 구할‘운전자 안심 비상단말기’는 35명의 여성운전자 전원에게 보급됐다.

카메라(57대), 비상벨(120대), 로고젝터(20) 등이 설치된 여성안심주차장은 15개 공영주차장에서 운영 중이다.

공중화장실 42개소는 여성안심존으로 지정, 여성출입구 쪽에 범죄로부터 즉시 신고 가능한 비상벨, 마이크, 경광등, cctv 등이 설치됐다.

시는 공중화장실 334개소 대상 불법촬영 점검과 범죄예방캠페인도 6천회 넘게 시는 실시했다. 올해는 일반 민간화장실에 대해서도 실태조사를 벌인 가운데 내년까지 범죄예방에 초점을 맞춰 환경을 개선할 계획으로 있어, 지역에서만큼은 화장실이 더 이상 범죄사각지대가 될 수 없을 전망이다.

안양 공중화장실 불법촬영 합동점검 모습안양 공중화장실 불법촬영 합동점검 모습


◇여성 안심 무인 택배 함 ·여성안심 거울길 등 조성 = 혼자 사는 여성들이 안심하고 비대면으로 택배를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여성안심 무인택배 함’을 5곳에서 운영 중인 가운데 올해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또 시는 22개소 총 연장 6km구간을 ‘여성안심 거울길’로 조성했다. 이 길에는 뒤 따라 오는 이의 확인 가능한 반사경(129개)을 비롯해 범죄 예방 및 신고를 안내하는 로고젝터와 각종 안내판 등이 곳곳에 설치돼 있다. 범죄로부터의 안전은 물론, 밤길 불안심리 해소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최 시장은 “여성이 안전해야 다수의 시민이 안전하고, 행복지수도 높아지게 된다”며 “공약인‘여성안전폴리스’사업을 지속해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