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중공업, 한국형 해상풍력 부유체 모델 공동 개발

부유체 설계·공사별 프로젝트 인증·모형시험 성능검증 등 협력

현대중공업이 26일 울산 본사에서 한국선급(KR),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와 한국형 해상풍력 부유체 관련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 제공=현대중공업현대중공업이 26일 울산 본사에서 한국선급(KR),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와 한국형 해상풍력 부유체 관련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 제공=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은 한국선급(KR),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와 ‘한국형 해상풍력 부유체 모델’을 공동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이날 KR·KRISO와 기술협력 업무협약(MOU)을 맺고 앞으로 부유체 설계와 공사별 프로젝트 인증·모형시험 성능검증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이날 협약식에서는 ‘10㎿급 한국형 해상풍력 부유체 고유 모델’에 대한 KR의 기본승인(AIP) 인증식도 함께 열렸다. 현대중공업과 관련 기관들은 동해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에 대비해 이 모델을 공동 개발했다. 부유체(Floater)는 풍력 발전설비를 바다 위에서 떠받치는 대형 구조물이다. 해양플랜트 설비 중 하나인 반잠수식 원유생산설비(FPS)와 디자인이 유사하다.

이번에 개발된 10㎿급 부유식 해상풍력 부유체 모델은 반잠수식 형태다. 바다 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도 발전 터빈(Turbine)이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안벽 작업에 유리한 구조로 개발돼 현대중공업 내 안벽에서 발전 터빈을 부유체에 빠르게 탑재한 뒤 해상 설치지역까지 그대로 운송할 수 있다.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하고 동해안의 강한 태풍을 견딜 내구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