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울산, 지방의료원 설립 공동 대응 나선다

지방의료원 설립 예타면제 공동 대응 위한 업무협약 체결

예타면제·공공보건의료체계 강화 등 정부·정치권 협력 촉구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지난 6일 오전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열린 광주의료원 설립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촉구를 위한 범시민 서명운동 행사에 참석해 서명을 한 후 김용집 시의회 의장 등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광주시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지난 6일 오전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열린 광주의료원 설립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촉구를 위한 범시민 서명운동 행사에 참석해 서명을 한 후 김용집 시의회 의장 등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광주시




송철호 울산시장이 지난 21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울산의료원 건립' 부지 선정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송철호 울산시장이 지난 21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울산의료원 건립' 부지 선정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광주광역시와 울산광역시가 재난대응체계 구축, 지역 간 의료 불균형 해소, 의료안전망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방의료원 설립’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광주시와 울산시는 26일 세종시 지방자치회관 대회의실에서 이용섭 광주시장과 송철호 울산시장, 양 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방의료원 설립 예타 면제 공동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시는 이날 업무협약을 통해 코로나19에 따른 공중보건 위기를 거치면서 지역 간 의료시설 불균형과 공공의료시설 부족이 국민 안전에 위기를 증폭시키고 있다는데 뜻을 같이하고 지방의료원을 조속히 설립하기 위해 상호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양 시는 시민단체와 의료계, 학계 등 공공보건의료 전문가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지방의료원 설립 추진에 필요한 각계의 의견과 행·재정적 정보를 공유한다.

관련기사



또 모든 시·도에 지방의료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며 정부에 지방의료원 설립의 최대 난관인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해줄 것을 함께 요청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가적 차원의 공공보건의료체계 강화와 지방의료원 설립·운영 제도의 발전을 위해 각 정당과 국회를 포함한 정치권의 협력을 함께 촉구한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공공의료원은 경제성을 뛰어넘어 시민 건강권 확보와 지역별 의료격차 해소, 응급대응체계 구축 등 공공성 강화를 위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사회 기반시설이다”며 “예타가 면제될 수 있도록 광주와 울산이 지속적으로 연대하고 협력해 가겠다”고 말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코로나19 사태에 행정력을 총동원해 적극 대응하고 있으나 지역 내 치료 병상과 의료 인력의 부족으로 울산시민이 타지역에서 치료받을 수밖에 없는 현 상황이 너무나 가슴 아프다”며 “협약을 계기로 코로나19 등 신·변종 감염병에 대비하고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지방의료원 설립을 위해 광주시와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 1일 광주의료원 설립 부지를 광산구와 서구 경계에 있는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내로 최종 결정하고, 350병상 1,500억원 규모의 의료원 설립을 추진 중에 있다.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고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은 국가재정법에 따라 정부 예타를 통과해야만 설립이 가능하다.

울산시도 울산의료원 설립과 관련 오는 9월 보건복지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기 위해 ‘타당성 조사’ 용역을 수행 중이며 정부에 울산시민의 염원을 전달하기 위해 범시민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광주=김선덕 기자·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