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한발 늦은 코로나19 백신 확보 정책 때문에 결국 집단면역 달성의 핵심인 20~40대 예방접종 일정이 흔들리고 있다. 이스라엘 등 주요 백신 모범국이 부스터샷(추가 접종)을 시작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모더나의 일방적인 공급 연기 통보에 접종 간격을 최대 2배까지 늘리는 미봉책으로 ‘백신 절벽’에 대응할 수밖에 없는 처지인 것이다. 게다가 약속을 지키지 않은 제조사와 체결한 비밀 유지 협약을 이유로 구체적인 연기 배경과 추후 일정도 공개하지 못해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심지어 방역 당국은 현재 접종 대상 연령이 50세 이상인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접종 연령을 낮추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다. 젊은 층 사이에서 AZ 백신 접종 후 혈전증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해 접종 연령을 50세로 높인 것을 다시 낮출 수도 있다는 것이어서 벌써부터 강한 우려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올 상반기부터 캐나다 등에서 이미 모더나의 백신 공급 지연 문제가 발생했는데도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후발 주자의 이점’조차 살리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9일 코로나19 대응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합동 브리핑에서 “AZ 백신은 허가 범위가 18세 이상이기 때문에 백신의 수급 상황이나 유행 상황에 따라 허가 범위 내에서 언제든지 접종이 가능하다”며 AZ 백신의 접종 연령 변경 가능성을 내비쳤다. 앞서 방역 당국은 혈전증 등 부작용 발생 우려로 AZ 백신 접종 권고 연령을 30세 이상에서 50세 이상으로 높였다. 이에 따라 50세 이하 연령대는 화이자·모더나를 중심으로 예방접종 계획이 세워졌다. 이날 정부가 AZ 백신의 접종 권고 연령 하향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이달 26일부터 18~49세 접종을 앞두고 백신 가뭄이 현실화한 탓이다.
모더나의 백신 공급 차질은 주변 국가 상황을 통해 충분히 예측 가능했다. 모더나는 당초 지난 4~6월까지 캐나다에 총 1,230만 회분을 공급할 예정이었지만 5월 말까지 370만 회분만 공급했다. 일본에도 6월까지 4,000만 회분을 공급하기로 했지만 실제 공급량은 1,370만 회분에 불과했다. 이 같은 공급 지연은 모두 상반기에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는 2월에 고령층·기저질환자 등을 중심으로 AZ 백신 접종을 시작해 접종 시작이 비교적 늦은 만큼 주변 국가의 수급 동향을 살펴보며 충분히 도입 일정을 예측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정부는 7월 모더나가 처음으로 공급 지연을 통보했을 당시 “7월 도입 물량은 8월에 무리 없이 들어올 것”이라고 장담하면서 해외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않았다. 이날 브리핑에서도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과 정 청장은 “(캐나다 등의 상반기 도입 차질에 대해) 보도를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접종 대상자들의 몫이 됐다. 정부는 이날 반복해서 “하반기 접종 일정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언급했지만 이미 3·4주 간격으로 접종하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의 접종 간격을 최대 6주까지 늘려 시간 여유를 확보하는 것 외에는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물론 접종 간격을 늘리는 것 자체는 크게 우려할 요인이 아니다. 한국뿐 아니라 독일(6주), 캐나다(16주) 등 역시 접종 간격을 넓게 책정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도 고위험군 접종률이 낮고 수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12주 범위 안에서 접종 간격을 조정하도록 권하고 있다.
하지만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오는 26일로 예정된 18~49세의 접종이 제대로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전문가들은 이 연령대는 사회 활동이 많기 때문에 조속히 예방접종을 진행해야 현재의 확산세를 막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1·2차 접종 간격을 늘려야 할 정도로 수급이 빠듯한 상황에서 1,200만 명 이상의 접종을 차질 없이 원활하게 진행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대선주자인 최재형 국민의힘 의원은 “우리나라의 백신 접종 완료율은 15%로 일본(32.9%)의 절반도 안 된다”며 "결국 자영업자들을 향한 고강도 영업 제한을 계속할 수밖에 없던 것"이라고 날을 세우기도 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제조사와의 ‘비밀 유지 협약’을 이유로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으면서 “집단면역 달성이 가능하다”고 호언장담만 늘어놓는 상황이다. 정 청장은 “현재 모더나 백신 8월 공급 일정이 변경되기는 했지만 화이자·모더나·얀센 등을 포함해 9월 말까지 70% 1차 접종, 11월 말까지 2차 접종을 완료하는 목표는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라며 “최대한 백신 수급을 관리하고 신속하게 백신을 확보해 일정을 최대한 조기에 시행할 수 있게끔 관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