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0년 보육교사로 일한 경단녀 "이젠 AI 기업 취업했죠"

■사각지대 자립 주춧돌 <상>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인구대책 핵심 떠오른 경력단절 여성

새일센터서 교육·취업알선 집중 지원

드론정비 등 50가지 고부가가치 교육

"일-가정 양립 가능한 사회 만들어야"

수강생들이 지난달 27일 서울 신촌역 인근에 위치한 서대문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직업상담사 현장 실무 과정 수업을 듣고 있다./오승현 기자수강생들이 지난달 27일 서울 신촌역 인근에 위치한 서대문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직업상담사 현장 실무 과정 수업을 듣고 있다./오승현 기자




“경력 단절 여성들이 취업 시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보면 여성에 특화된 지원이 아직은 필요합니다. 요즘에는 코로나19 때문에 채용이 줄고 아이들도 학교에 가지 않아 상황이 더 힘들어졌습니다. 교육은 끝나지만 저희가 계속 구인 업체를 소개해드릴 테니 전화를 꼭 받아주시고 도움이 필요할 때는 언제든지 찾아오세요.”

박정숙 서울 서대문여성새로일하기센터장은 지난달 27일 오후 ‘직업상담사 현장 실무 과정’의 마지막 교육이 끝나고 진행된 수료식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 수강생이 두 달간 이어진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설문지에 “국비 지원으로 이런 교육을 받을 수 있는지 몰랐다”고 적은 것을 대독하면서다.



박 센터장의 발언은 정부의 정책 기조와 궤를 같이한다. 지난 7월 범정부 합동 인구 정책 태스크포스(TF)가 발표한 인구 대책은 여성의 경력 단절 예방과 재취업 촉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출산·육아기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후 재취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풀지 않으면 전 세계 최저 출산율이 초래할 노동력 부족 사태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 지난해 한국의 여성 고용률은 56.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59%보다 낮을 뿐 아니라 지난 2009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경력 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돕는 전국의 159개 새일센터의 어깨가 무거워진 이유다.

관련기사





10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새일센터는 경력 단절 여성에게 직업 상담, 직업교육 훈련, 구인·구직, 취업 후 관리 등을 종합 지원한다는 목표 아래 여가부 지정 기관으로 2009년 출범했다. 새일센터를 이용한 인원은 2009년 13만 346명에서 지난해 55만 2,198명으로 훌쩍 늘었다. 지난해 새일센터의 교육과 알선을 거쳐 취·창업한 인원은 총 17만 6,866명이다. 이 가운데 7,770명은 여가부의 국비 지원으로 운영되는 직업교육 훈련을 거쳐 일자리를 구했다. 새일센터의 직업교육 훈련은 사무 관리, 서비스, 정보기술(IT), 디자인, 제조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눈에 띄는 점은 드론 정비, 글로벌 무역 마케팅, 3D 프린팅 모델링 등 고부가가치 직종의 교육 과정이 2016년 25개에서 지난해 50개로 늘었다는 것이다. 서비스 직종에 몰리는 경력 단절 여성의 재취업 분야를 유망 직종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다. 10년 동안 보육 교사로 일했던 이 모(37) 씨가 최근 인공지능(AI) 데이터 수집·가공 업체에 취직할 수 있었던 것도 지난해 서울 은평새일센터에서 수료했던 교육 덕분이었다. 이 씨는 “재작년에 직장이 폐원하고 코로나19가 터지면서 구직이 어려웠다”며 “지금은 자율주행 자동차 데이터베이스 구축 업무를 하고 있는데 아이들을 돌보며 유연 근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이라 무척 만족한다”고 말했다.

다양한 경제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창업 지원도 활발하다. 김주아(37) 씨는 지난해 충남 부여새일센터에서 창업 교육과 관련 컨설팅을 받고 올 초 샌드위치 케이터링 업체를 차렸다. 개업한 지 6개월밖에 되지 않았지만 밀려드는 예약 주문을 소화하느라 오후 11시에 퇴근할 때도 있을 정도로 성과가 뚜렷하다. 김 씨는 “오랫동안 조리사로 일했는데 아이 셋을 연달아 낳으면서 사회생활을 쉬다 보니 자신감이 많이 떨어져 있었다”며 “비로소 ‘내 것’을 찾게 된 기분이라 힘들어도 행복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김 씨처럼 새일센터의 지원을 받고 창업에 성공한 업체는 총 1,277개다.

새일센터는 최근 업무 범위를 ‘경력 단절 예방’까지 넓혀 재직 여성에게 각종 고충·노무 상담, 기업에는 직장 문화 개선 컨설팅 등을 제공하고 있다. 경력 단절 이후 재취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할 뿐 아니라 취업을 해도 이전보다 못한 임금을 받아야 하는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박 센터장은 “재직 여성과 경력 단절 여성 모두가 일·가정 양립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는다”며 “질 좋고 유연한 일자리가 많아지고 돌봄 서비스가 충분히 제공돼야 경력 단절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