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통제불능 집값?…전국·수도권 아파트값 또 역대 최고로 올랐다

[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가격동향 통계]

자료=한국부동산원자료=한국부동산원




집값 상승세가 전국을 휘감고 있다. 전국 176개 시·군·구 중 이번주 집값이 하락한 지역은 단 한 곳 뿐이고, 전국과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통계가 집계된 지난 2012년 5월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동향 통계를 보면 8월 둘째주 전국 아파트값은 0.30% 올랐다. 지난주 0.37%로 역대 가장 높은 상승률을 찍었던 수도권도 이번 주 0.39% 상승하며 단 한 주만에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지난주와 동일한 0.20%로 집계됐다. 강남권 집값도 계속 오르고 있다. 이번주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1년 8개월만에 가장 높은 0.22%를 기록했다. 잠실 재건축 단지를 위주로 오른 송파구(0.24%)를 비롯해 강남(0.23%)·서초(0.22%)·강동구(0.16%) 모두 전주 대비 상승폭을 키웠다. 고가 단지 뿐 아니라 중저가 단지도 가격이 계속 오르는 중이다. 25개 자치구 중 최고 상승률을 매주 기록하고 있는 노원구(0.32%)는 물론이고 도봉(0.28%)·강서(0.23%)·관악(0.22%)·중랑구(0.21%) 등 중저가 외곽 단지들이 ‘패닉바잉’ 수요를 타고 가격대를 높이고 있다.

관련기사



서울 아파트 단지 전경 / 연합뉴스서울 아파트 단지 전경 / 연합뉴스


경기·인천도 마찬가지다. 이번주 경기권 아파트 상승률은 전주보다 0.02%포인트 오른 0.49%다. 이 또한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안성(0.94%)의 경우 공시가격 1억원 미만 단지 위주로, 오산(088%)은 교통개서너 기대감이 있는 세교동을 중심으로 집값이 올랐다. 인천도 지난주 0.37%의 상승률을 기록했지만 이번주 0.43%으로 그 폭을 넓혔다.

한편 임대차3법 시행 1년을 맞은 지금도 전세난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주 대비 전세가 상승폭은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 0.20%·수도권 0.26%·서울 0.16%이라는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 전세 시장과 관련해 “학군 및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으로 전반적인 매물부족 현상이 지속됐으나 휴가철을 맞아 거래 및 문의가 감소하며 상승폭이 소폭 줄었다”고 분석했다. 서울 내에서 전세가 상승률 1위를 기록한 지역은 목동 학군이 위치한 양천구(0.24%)로 집계됐다.

경기와 인천 전세가 상승률도 지난주보다 소폭 떨어져 각각 0.30%를 기록했다. 경기권 아파트의 경우 시흥(0.63%)과 안성(0.53%), 그리고 안산(0.53%)의 상승세가 가팔랐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