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0평 아파트마저…서울 25개구 모두 9억 넘었다

집값 치솟자 소형으로 수요 몰려

20평형도 이젠 고가주택 합류

서울 아파트 전경./연합뉴스서울 아파트 전경./연합뉴스




올해 들어 아파트 값이 더 치솟으면서 서울 25개 구 전 지역에서 전용면적 59㎡(20평형)의 매매가가 9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 84㎡(30평형) 기준으로 서울 25곳 모두 10억 원을 초과한 가운데 20평형 소형마저 고가 주택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18일 서울경제가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를 서울 자치구별로 분석한 결과 서울 25개 구 전역에서 전용면적 59㎡ 기준 9억 원을 넘어섰다. 사실상 서울 전체가 20평형대 기준으로도 고가 주택 지역이 된 셈이다.

본지 분석 결과 서울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9억 원 초과 59㎡ 아파트가 나온 곳은 도봉구다. 지난 4월 창동 주공19단지 전용 59㎡ 11층 매물이 9억 500만 원에 거래되면서 서울의 모든 자치구에서 59㎡ 고가 주택이 탄생했다. 이 단지는 지난달 17일 12층 매물이 9억 2,000만 원에 실거래되며 9억 원대 거래 가격을 다졌다.

시장에서는 전세가는 물론 매매가마저 치솟자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소형으로 수요가 몰린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7월에는 서울 아파트 값이 1.36% 올랐다. 하지만 올 1~7월에는 2.5배 더 뛴 3.40%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서민 단지로 분류됐던 20평형대마저 고가 주택 대열에 합류하면서 정책 방향 설정이 더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주선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원 교수는 “이미 ‘벼락거지’라는 표현에서 드러나듯이 무주택자는 절망에 빠지고 주택 보유 여부에 따른 자산 격차는 양극화를 넘어 초양극화로 가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유효 수요에 맞춘 주택 공급에 집중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20평형 서민주택 아닌 고가주택…30평은 20억 클럽 가입 늘어>



서울 전역에서 소형인 20평형(전용 59㎡)은 물론 국민 평수(30평형·84㎡)에서 기존 가격 허들을 뛰어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서울경제가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를 서울 자치구별로 분석한 결과다. 서울 25곳 중 절반가량인 12곳에서는 20평형 아파트 값이 15억 원을 넘어선 거래가 발견됐다. 이미 서울 전 지역에서 전용 84㎡(30평형) 아파트 값은 10억 원을 넘어선 상태다. 한 전문가는 “서울 전역에서 20평형은 15억 원, 30평형은 20억 원 시대가 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국토부 실거래가를 분석해보면 현재 59㎡ 기준 15억 원을 초과하는 단지가 있는 자치구는 절반가량인 12곳에 이른다. 강남 4구를 비롯해 마포구·용산구·성동구·종로구·광진구 등 주요 지역들이 이에 해당한다.

조만간 이곳에 영등포구도 이름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7일 당산동 ‘당산센트럴아이파크’ 28층 매물이 14억 8,000만 원에 거래되면서 15억 원 초과를 코앞에 뒀다. 만약 이 단지에서 15억 원 초과 거래가 발생할 경우 서울 시내 자치구 중 15억 원 초과 단지가 나온 곳은 13곳으로 절반을 넘게 된다.

이미 강남구와 서초구·용산구 등 세 개 자치구에서는 전용 59㎡ 실거래가가 20억 원을 넘어섰다. 송파구 잠실동의 엘스와 리센츠에서도 전용 59㎡가 19억 원대에 거래되고 있는 만큼 송파구 역시 20억 원대 돌파가 머지않았다는 전망이 나온다. 20평형 기준으로 10억 원 초과 거래 사례가 없는 곳은 강북구와 도봉구다. 소형 아파트 값도 전 지역이 10억 원인 시대가 사실상 열린 셈이다.



국민 평수인 전용 84㎡는 이미 25개 전체 구가 10억 클럽에 가입했다. 30평형의 가격 상승세도 가파르다. 분석 결과 서울 25개 구 중 15억 원을 초과한 곳은 절반을 넘는 18개 구에 이른다. 강북구와 관악구·금천구·노원구·도봉구·은평구·중구를 제외한 18개 자치구에서 15억 원 초과 아파트 단지가 나왔다. 15억 원을 돌파한 단지가 없는 지역에서도 14억 원대 거래가 최근 잇따르고 있다.

임병철 부동산114리서치 팀장은 “집값 상승의 궁극적인 원인인 공급 부족은 당장 올해 해결하기는 어려운 데다 정책 신뢰가 떨어지면서 소비자들의 상승 기대감도 계속 되고 있다”며 “기준 금리 인상 정도가 하락요인이지만, 대선을 앞우고 개발 공약에 따른 기대감 등 상승 요인이 더 우세한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