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 재난지원금의 효과가 빠지며 올해 2분기 가구 소득이 4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집값 등 자산 가격 급등으로 1~4분위(하위 0~80%) 가구의 소득은 감소한 반면 상위층인 5분위(상위 20%) 가구는 소득이 늘어났다. 양극화가 심화한 모양새다.
19일 통계청의 2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 2분기 전국 1인 이상 일반가구의 월평균 가계소득은 428만 7,000원으로 전년 동분기보다 0.7% 감소했다. 2분기 기준 가계소득 감소는 지난 2017년 2분기 이후 4년 만이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 격차는 더 벌어졌다. 5분위의 월평균 소득은 924만 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늘었다. 반면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96만 6,000원으로 1년 전보다 6.3% 줄었고 2분위는 236만 5,000원으로 0.9% 감소했다. 3분위(366만 1,000원)와 4분위(519만 2,000원)의 월평균 소득도 각각 0.7%, 3.1% 줄었다. 이에 따라 소득 분배 지표로 활용하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처분가능소득을 가구원값으로 나눈 값) 5분위 배율(5분위 대비 1분위 배율)은 5.59배로 1년 전 5.03배보다 악화됐다. 지난해 5월 전 국민에게 지급한 재난지원금의 기저 효과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가계소득을 항목별로 보면 경상소득(일정하고 장기적인 소득)은 420만 8,000원으로 1년 전보다 0.9% 줄었다. 특히 이전소득이 86만 3,000원에서 61만 7,000원으로 28.6% 감소했다. 재난지원금이 포함된 공적 이전소득은 지난해 2분기 66만 9,000원에서 올 2분기 42만 1,000원으로 37.1%나 줄었다. 반면 고용 호조와 자영업 업황 개선 등으로 근로소득은 274만 3,000원으로 6.5% 늘었고 사업소득 역시 80만 6,000원으로 3.6% 증가했다.
재난지원금 기저 효과는 저소득층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소득 하위 20%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각각 19.6%, 16.1% 늘어 상위 20%의 4.8%, 1.3%보다 훨씬 높았다. 하지만 하위 20%의 공적 이전소득이 22.5%나 줄며 전체 소득이 감소했다. 하위 20% 가구의 공적 이전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6.4%에 달하는 데 비해 상위 20%는 4.6%에 불과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페이스북에 “시장 소득이 뚜렷하게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총소득이 감소한 것은 전 국민 재난지원금 등 공적 이전소득의 기저 효과가 컸다”며 “전년 대비 공적 이전소득은 감소했지만, 정부의 재정과 정책을 통한 시장 소득 보완 노력은 코로나19 이전 평상 수준보다는 강하게 지속됐다”고 적었다.
한편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7만 5,000원으로 1년 전보다 3.8% 늘었다. 방역 체계 내에서 대면 수업 재개,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확대 등으로 교육 지출이 15만 원으로 전년 동분기보다 31.1% 올랐고 음식·숙박 지출이 34만 3,000원으로 1년 전보다 3.3%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