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NH선물/주간 국제상품시황]안전자산 선호와 테이퍼링 우려 사이, 金 한 주새 0.33% ↑






지난 주 미국 뉴욕상품거래소 금 12월물은 전 주보다 온스당 5.80달러(0.33%) 오른 1,784달러에 마감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에 소폭 강세로 한 주를 마쳤다. 주중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공개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을 높인 영향이 달러 강세를 초래하며 하방 압력을 받기도 했으나 바이러스 확산이 가져온 거시경제적 불확실성 확대가 더 큰 영향을 끼치는 모습이었다.

관련기사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 10월물은 지난 주 사이 배럴당 6.07달러(8.90%) 내린 62.1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원유는 재고 감소에도 불구하고 테이퍼링 가능성이 가져온 달러 강세,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에 결국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하고 말았다. 전문가들은 2019년 이후 처음으로 7거래일 연속 하락한 유가를 놓고 당분간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수요 감소 전망과 낮은 재고에 따른 펀더멘탈상 반등 영향력을 판단해야 할 시기라고 진단했다.

지난 주 영국 런던금속거래소(LME) 전기동 3개월물은 전 주보다 톤당 533달러(5.57%) 내린 9,037달러에 장을 종료했다. 중국의 경제 지표 부진에 경기 성장 둔화 우려를 안고 약세로 한 주를 시작한 전기동은 거시경제적 불확실성 및 그에 따른 달러 강세가 겹치며 6월 중순 이후 최악의 한 주를 보냈다. 칠레 전기동 광산에서 파업 소식이 들리며 공급 우려가 나오기도 했으나 거시경제적 악재가 워낙 컸던 탓에 매도 우위 시장이 이어지며 주중 톤당 8,740달러까지 가격이 밀리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러나 이후 지나친 약세를 경계하듯 투자자들의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가격은 톤당 9,000달러를 겨우 회복하며 한 주를 마쳤다.

같은 기간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옥수수 12월물은 부셸당 36센트(6.28%) 내린 537센트, 소맥 12월물은 부셸당 46센트(5.94%) 하락한 728.25센트, 대두 11월물은 74.25센트(5.44%) 떨어진 1,290.75센트에 각각 마감했다. 주간 수출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바이오 연료용 농산물의 수요 감소 우려가 불거진 탓에 3대 농산물은 하락장을 맞았다. 바이오 연료용 농산물은 미국 환경보호청이 백악관에 올해 바이오 연료의 혼합 비율을 작년보다 낮게 설정해 줄 것을 권고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수요 위축 우려가 커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