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탄소중립 핵심기술에 6.7조 투입한다

수소환원제철·바이오원료 개발 등

산업부 내달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부가 수소환원 제철과 바이오 원료 등 산업 분야의 탄소 감축 기술 개발을 위해 총 6조 7,000억 원 규모의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센터에서 산업 부문 탄소중립 연구개발(R&D) 기획 총괄위원회를 열어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를 위한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 개발사업’ 예타 기획안을 마련했다. 이번 예타 기획안은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1단계 기술 개발(2023∼2030년) 내용을 담고 있다. 업종별 작업반과 탄소중립위원회, 기술 수요 조사, 업계 간담회 등 산업계 수요를 조사하고 산학연 전문가의 검토를 거쳤다.

관련기사





업종은 총 13개로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탄소 다(多)배출 업종은 물론 섬유·비철금속·제지·유리 등 일반 업종, 자원 순환 등 제조업 전반을 포괄한다. 세부 내용을 보면 탄소 배출이 가장 많은 철강에서 수소환원 제철과 초고속 전기로 개발 등 10개 전략 과제 개발에 1조 원을 책정했다. 석유화학은 전기 가열 나프타 분해 공정, 나프타 대체 바이오 원료 개발 등 20개 전략 과제에 1조 8,000억 원, 시멘트는 탄산염 등 고탄소 원료 대체 기술 및 무탄소 신열원 기술 등 9개 전략 과제에 9,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와 자동차 부문 기술 개발에는 각각 9,000억 원, 1,700억 원을 배정했다.

산업부는 내달 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예타를 신청할 예정이다. 이번 예타에 포함된 기술뿐 아니라 탄소중립 기술도 기존 R&D 사업 및 신규 비(非)예타 사업 등을 통해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예타 기획안은 산업 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하고 실질적으로 탄소 감축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들”이라며 “예타 통과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산업 부문 탄소중립 주요 기술 및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 창구인 ‘넷제로테크’도 개설했다고 이날 밝혔다. 넷제로테크는 탄소중립 기술과 관련해 산업계와 상시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예타 기획안에 제시된 기술 등 탄소중립 기술 전반에 대한 다양한 제언이 모일 것으로 기대된다.


세종=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