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변동금리 비중 73% 달해…금리 0.25%P 인상에 이자부담 3조 '쑥'

[긴축의 시대…빨간불 켜진 가계대출 관리]

자영업자 등 상환능력 초과해 대출

은행권 가계대출 연체액 급증 우려

취약 차주 부실화 가능성 대비해야





금융권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이 현실화함에 따라 역대급으로 불어난 가계 부채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반응이다. 저금리 기조를 틈타 상환 능력을 초과해 빚을 냈던 2030세대·소상공인·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부실 가능성이 당장 리스크 요인으로 손꼽히기 때문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은 일찍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반영해 각종 대출 상품의 금리를 올려왔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 중 우리은행을 제외한 모든 은행에서 신규 취급액 코픽스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고 4%를 넘었다. KB국민은행이 최고 4.13%, 신한은행이 4.05%, 하나은행이 4.198%다. 우리은행은 3.94%로 4%를 목전에 뒀다. 시장에서는 주담대에 이어 마이너스통장 금리 또한 4%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전달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카카오·케이뱅크 등이 취급한 마통의 평균 금리는 연 3.26~3.79%다. 불과 한 달 전 신한은행에서 2.92%에 마통을 취급한 것에 비하면 한 달 만에 2%대 마통이 실종된 셈이다.



관건은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06조원 규모다. 이 가운데 카드 사용액(판매신용)을 뺀 가계대출만 1,705조 원에 이른다. 또 전체 가계잔액 기준으로 변동 금리 대출 비중은 72.5%나 된다. 6년 9개월만에 가장 높은 비율이다. 은행 외 금융기관도 변동금리 비중이 같다고 가정하면 이번 기준금리 0.25%p 인상으로 대출자가 추가 부담하는 이자는 3조988억원(1,705조원×72.7%×0.25%)에 이른다. 더구나 한은은 올 11월쯤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

관련기사





은행권에서는 특히 빚투·영끌 열풍의 주역인 2030세대와 중소기업·자영업자 등의 이자 부담에 주목하고 있다. 레버리지 투자 열풍에 코로나19로 인한 특수성 등에 따라 상환 능력을 초과해 대출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은행권에서 중소기업·자영업자에게 대출 만기 연장, 원리금 상환 유예 등을 위해 지원된 규모만 총 204조 4,000억 원에 이른다. 한은이 연내 추가 기준금리 상승을 내비친 만큼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가계대출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은행권의 가계대출 연체액이 급증할 수 있다.

은행권에서는 금리 인상과 별도로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에 따라 각종 대출 취급을 제한하고 있다. NH농협은행에 이어 하나은행도 신용 대출의 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축소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이 27일까지 시중은행에 신용 대출 상품별 최대 한도와 향후 대출 한도 조정 계획을 작성해 제출하라고 한 만큼 다른 은행들도 속속 한도 조정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기존 차주에게는 이자 부담이, 대출을 받으려는 고객에게는 대출 제한이 문제일 것”이라며 “금리 변동성이 당분간 계속되는 만큼 금리 변동 주기가 긴 신용 대출 상품을 고르거나 혼합형 주담대로 갈아타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