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리뷰] '보이스' 끔찍한 보이스피싱 현실 공포…통쾌한 액션으로 대리만족

보이스 / 사진=CJ ENM보이스 / 사진=CJ ENM




판타지 같은 이야기지만 통쾌하고 짜릿하다. 언제든 내 일이 될 수도 있다는 현실 공포에 떨고, 타인의 희망을 가로채는 이들을 직접 응징하려 뛰어든 주인공을 보며 위안을 얻는다. 피해자에게는 잘못이 없다고 말해주는 다독임까지 가슴에 와닿는다.



‘보이스’는 부산의 한 건설현장에서 작업반장으로 일하고 있는 서준(변요한)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알 수 없는 이유로 현장 통신이 불통이 된 사이, 서준의 아내는 서준의 친구라는 남자에게 전화를 받는다. 서준이 위험에 빠졌다며 빨리 합의금을 줘야한다는 재촉. 혼비백산한 그녀는 그만 아파트 중도금 7,000만원을 보내버리고 만다. 뒤늦게야 자신이 보이스피싱을 당했다는 걸 안 서준의 아내는 도로에서 정신을 잃고 그만 교통사고를 당한다. 업친데 덮친 격으로 건설현장 노동자들의 임금 30억까지 모두 보이스피싱으로 날려버린 서준은 결국 폭발한다.

알고 보니 보이스피싱 조직은 처음부터 서준과 부산 건설 현장을 타깃으로 설계했다. 애석하게도 그들이 노리는 것은 피해자들의 희망이었다. 누군가에게는 평생 피땀 흘려 마련한 집, 누군가에게는 목숨 같은 병원비였다. 모든 사실을 알게 된 서준은 직접 보이스피싱 조직을 소탕하기 위해 중국에 있는 본거지에 잠입, 자신의 친구라고 속인 남자의 목소리를 찾아 나서기 시작한다.

보이스 / 사진=CJ ENM보이스 / 사진=CJ ENM



‘보이스’는 현재진행형인 범죄를 소재로 삼아 리얼한 공포감을 맞닥뜨리게 하는 데 집중했다. 누구든지 철저한 보이스피싱 체계에 깜빡 속아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이 피부로 와닿는다. 실체 없는 귀신 이야기보다 더 오싹하고 무섭게 다가올 정도다. 경각심을 주고 싶었다는 김선, 김곡 감독의 의도가 통하는 지점이다.

관련기사



작품에서 그려진 보이스피싱 조직의 내부 세계는 리얼함을 더한다. 금융감독원, 지능범죄수사대, 화이트 해커 등의 인터뷰와 조사를 거치고 영화적 상상력 가미해 구현된 이곳은 한 기업처럼 조직적이고 전문적이다. 개인정보를 입수하는 경로도 있고, 철저한 사전 조사로 상황에 맞는 시나리오도 구상한다. 착신전화 해킹앱, 발신번호 조작 등으로 손쉽게 피해자들의 의심을 따돌린다. 인출책, 환치기 등 체계적인 구조까지 있어 왜 수많은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이 발생하는지 이해하게 만든다.

보이스 / 사진=CJ ENM보이스 / 사진=CJ ENM


후반부로 갈수록 액션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이 작품의 흥미 요소다. 보이스피싱 설계자인 곽프로(김무열)의 실체를 알게 된 서준은 맨몸으로 그들과 맞서 싸운다. 서준이 전설적인 마약사범전문 경찰 출신이라는 설정이긴 하지만, 적을 추격하는 과정이 히어로물처럼 보이기도 한다. 엉성한 얼개이긴 하나 통쾌함은 배가 된다. 지금도 숨어서 활개치는 가해자들에게 복수하며 대리 만족을 느끼게 하기 위한 의도적인 전개다.

서준의 처절함과 절박함이 느껴지는 변요한의 세밀한 감정 연기가 설득력을 갖게 한다. 거의 모든 액션을 직접 소화했다는 그는 몸을 내던졌다는 표현이 딱 알맞다. 멋을 위한 액션이 아닌, 분노와 절실함이 느껴지는 열연이다. 김무열은 극악무도한 악인으로 작품의 긴장감을 높이는데 제몫을 다했다. 공장같은 콜센터에서 홀로 깔끔한 옷매무새와 우아한 말투로 보이스피싱을 주도하는 모습은 분노를 유발하기 적당하다. 9월 15일 개봉.

보이스 / 사진=CJ ENM보이스 / 사진=CJ ENM


추승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