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지름신’ MZ 세대로 커가는 후불결제…한도확대 길 열리나







‘플렉스’ 문화가 자리잡은 MZ세대가 네이버와 쿠팡의 ‘후불결제(Buy Now Pay Later·BNPL)’ 시스템에 열광하고 있다. 후불결제란 일단 구매를 하고 부족한 금액은 다음달 특정 일에 계좌에서 자동 출금되는 방식의 결제 방법이다. 이를 두고 MZ세대에 과소비를 조장한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신용카드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거나 신용이력이 적은 대학생과 주부 등 ‘신파일러(Thin Filer)’에게 포용적인 결제 수단이기 때문에 확대해야 한다는 여론도 거세다.

관련기사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통해 받은 ‘네이버의 후불결제 서비스 체결금액' 자료를 보면 후불 결제 대금은 4월 3억 4,000만 원, 5월 6억 3,000만 원, 6월 11억 7,500만 원, 7월 20억 8,600만 원, 8월 29억 원으로 매달 188% 가량 증가했다. 아직 일부 고객에게 시범 서비스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보면 정식 서비스로 출시될 경우 결제 규모와 증가율은 더욱 가파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MZ 세대의 후불결제 사용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 BNPL 시스템이 먼저 도입된 호주 등 외국의 경우 이용 고객 중 2030대가 70%에 육박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MZ세대를 공략한 후불결제(BNPL) 서비스의 부상’ 리포트에 따르면 “20대는 신용이 낮아 신용카드를 만들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온라인 쇼핑 시 체크카드로 고가 상품 구입의 어려움이 있어 신용카드의 대체 수단으로 BNPL를 이용한다”며 “코로나19로 온라인을 통한 명품, 전자기기 등 고가 제품 구입이 늘어나면서 체크카드로 전액 결제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MZ세대는 BNPL를 이용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BNPL 제도는 해외와 비교할 경우 제약이 많다. 우선 우리나라 BNPL 서비스의 한도가 낮다. 네이버의 경우 후불결제 한도는 30만 원이다. 쿠팡은 약 50만 원 정도로 알려져있다. 하나경영연구소 관계자는 “국내 후불결제 서비스에는 해외 BNPL 서비스의 핵심인 분할 납부 기능이 없고 금액이 소액이라 아직은 해외와 같은 인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규제를 풀기 위해선 연체관리 등 서비스 이용자들의 신용관리 등의 안전성이 답보돼야 한다는 게 규제 당국의 입장이다. 네이버 후불결제 연체율(산정 기준 1일)은 5월 0.93%, 6월 0.81%, 7월 1.38%, 8월 1.49%로 상승 곡선을 그렸다. 다만 산정기준이 1일인데다 신용카드사 연체율과 비교해보면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는 게 네이버의 입장이다. 이와 관련 네이버 관계자는 “금융이력이 부족해 신용을 활용한 소비활동에 제약을 받았던 사회초년생이나 주부 등 신파일러에게도 후불결제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며 “결제일 알림, 모니터링 강화 등 소비자 보호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