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재명式 보편적 기본소득, 불평등 완화 효과 크지 않다"

한국재정학회 추계 학술대회

보편적 지급이 부의 소득세보다

소득재분배·빈곤축소 도움 안돼

"선별과 집중이 복지사회에 유용"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27일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꽃다발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27일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꽃다발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대표 공약인 ‘기본소득’이 불평등 및 빈곤 완화 측면에서는 효과가 크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국책연구원에서 나왔다.

28일 한국재정학회에 따르면 남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9일 열리는 재정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기본소득의 경제적 효과 분석’ 보고서를 발표한다.



보고서는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최근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기본소득 제도를 세 가지 시나리오로 나눠 분석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전 국민에게 매달 10만 원을 지급하고 대신 동일한 세율의 소득세를 추가로 더 걷어 재원으로 쓰는 방안이다. 이 후보는 전 국민에게 기본소득을 나눠주되 토지세를 신설해 재원으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첫 번째 시나리오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소득에 상관없이 동일한 금액을 지불한다는 기본 원칙은 같다고 볼 수 있다.

관련기사



두 번째 시나리오는 이른바 ‘부의 소득’ 방식이다. 윤석열 캠프의 정책총괄을 맡고 있는 이석준 전 국무조정실장이 주장하고 있는 방식이다. 이 시나리오는 소득 상위 50%인 소득 6분위 이상 가계에 대해 정률 소득세를 추가 부과하고 이렇게 걷어들인 돈을 5분위 이하 가계에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때 지급 금액은 소득이 낮아질수록 더 늘어나게 된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전체 가계에 대해 정률 소득세를 부가하고 이 돈으로 상위 30% 고소득층을 제외한 7분위 이하 가계에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 시나리오에서도 소득이 적을수록 지급 금액은 더 늘어난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는 기본소득의 ‘완패’로 나타났다. 소득 재분배, 불평등 완화, 빈곤 축소 등 모든 측면에서 기본소득의 기대 효과가 2·3번 시나리오에 비해 낮았다. 기본소득 시나리오에서 월평균 약 30만 원이었던 소득 1분위의 가처분소득은 최종 약 36만 원으로 늘어난 데 비해 두 번째 시나리오(약 30만 원→약 54만 원)와 세 번째 시나리오(약 30만 원→약 50만 원)의 소득 확대 폭이 더 컸다. 남 연구원은 “보편적 기본소득 정의에 부합하는 시나리오 1이 불평등 완화나 빈곤 축소 등에서는 상대적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선별과 집중을 염두에 둔 타기팅 전략이 복지사회에 더 유용한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성순 단국대 명예교수는 국가 부채의 장기 경제성장계수를 -1.16으로 분석했다.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인적 자본과 관련된 평균 교육 연수(2.24), 정부 소비 지출(1.60), 민간 투자(0.22), 민간 소비(0.09)였다. 김 교수는 “국가 부채는 단기적으로는 성장에 긍정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가장 큰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미래 세대로의 경제 부담 전가와 성장 잠재력 훼손 등 부작용을 유의해 재정을 배정·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