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여성 인권 존중하겠다던 탈레반, 이번엔 구호단체 여직원 활동 금지

아프가니스탄 34개주 中 3개주만 여직원 활동 허용

여직원 활동 허용된 곳도 남성과 함께 동행해야

인권·구호단체 정상적으로 업무 수행 못해

/AFP연합뉴스/AFP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이 최근 빈민을 돕는 구호단체 여직원 대다수의 활동을 금지해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5일(현지시간)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 아프가니스탄 지부에 따르면 탈레반은 34개주 가운데 단 3개주에서만 구호단체 여직원들의 활동을 허용했다. 이 단체는 “탈레반의 구호단체 여직원 활동 금지는 간절하게 도움을 바라는 이들, 특히 여성과 소녀, 여성 가장 지원을 가로막고 있다”며 “여직원 활동이 허용된 지역도 남성 동행 조건을 붙여 구호 활동을 하기 어렵게 만든다”고 전날 성명을 내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남편을 잃은 여성이나 고아를 돕는 현지 NGO(비정부기구) 활동가 디바 파르하만드는 “탈레반에 가로막혀 더는 예전처럼 구호 활동을 할 수 없다”며 “이제는 구호품 전달 등을 위해 방문할 때 남성이 같이 가야 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들 단체는 “아프간 사회는 여성과 남성 분리가 뿌리 깊게 박혀 있어서 여성들을 도우려면 여성 활동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올해 8월, 탈레반은 20년 만에 정권을 다시 잡은 뒤 “여성 인권을 존중하겠다”, “여성도 같이 일하자”고 약속했지만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 방송국에서는 여성 앵커와 기자들이 쫓겨났고, 시청 등 지자체 공무원은 전원 남성으로 교체됐다. 전신을 가리는 부르카를 입지 않고 외출한 여성이 탈레반의 총에 맞아 숨졌고, 수도 카불 시내 광고판의 여성 얼굴이 검은 페인트로 칠해지기도 했다. 일부 용감한 여성들은 “교육의 기회와 일할 기회를 달라”고 거리 시위를 벌였지만, 대다수 여성은 집 밖 활동을 삼가고 있다.

탈레반이 발표한 과도 정부 내각에는 여성이 단 한 명도 포함되지 않았다. 아프간에서 여성을 위한 NGO를 운영하는 마흐부바 사라지는 EFE통신과 인터뷰에서 “여성 사회운동가들은 탈레반 재집권 후 폭력에 직면해 있다”며 “인권·구호단체들은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유하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