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희망퇴직으로 은행을 떠나는 인력 규모가 최소 4,000명에 달하면서 역대급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씨티은행의 소매금융 철수 결정 여파와 비대면 금융 전환에 따른 점포·인력 축소, 늘어난 이익을 바탕으로 이전보다 좋아진 희망퇴직 조건, 인생 2막 설계를 서두르는 추세 등이 뒤섞인 결과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SC제일은행이 지난달 8~15일 특별퇴직(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결과 약 500명이 자원해 지난 10월 29일 자로 은행을 떠났다. SC제일은행은 임금피크제에 해당하거나 임박한 직원, 경력 전환을 구상하는 직원 등을 상대로 1년에 한 번 특별퇴직을 진행해왔다. 최근 수년간 특별퇴직자 수는 △2015년 962명 △2019년 154명 △2020년 29명으로 2015년 이후 6년 만에 올해 가장 많은 직원이 특별퇴직을 선택했다.
소매금융 부문의 공식 철수를 발표한 한국씨티은행도 지난달 28일부터 오는 10일까지 소매금융과 기업금융 부문 직원 등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접수를 받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현재 3,400여 명인 씨티은행 직원 중 소매금융 인력을 중심으로 최소 절반 이상이 희망퇴직을 신청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말 이미 씨티은행 노사가 합의한 희망퇴직 조건이 나쁘지 않기 때문이다. 근속기간 만 3년 이상 정규 직원과 무기 전담 직원이 희망퇴직을 신청하면 최대 7억 원 한도 안에서 정년까지 남은 개월 수만큼(최장 7년) 기본급의 100%를 특별퇴직금으로 받을 수 있다. 퇴직자에게는 창업·전직 지원금 2,500만 원도 추가 지급된다.
국내 시중은행에서도 희망퇴직자가 부쩍 늘어나는 추세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올해 1월 30일 자로 800명이 희망퇴직했다. 2020년(462명)·2019년(613명)보다 많고 2018년(407명)의 거의 두 배에 이른다. 신한은행은 올해 이례적으로 1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희망퇴직을 진행해 올해 350여 명이 짐을 쌌다. 한 해 두 번의 희망퇴직은 신한은행 사상 처음으로 결과적으로 희망퇴직자 수도 2018년(700여 명) 이후 가장 많았다. 우리은행에서도 1월 말 468명이 희망퇴직 형태로 나갔다. 2020년(326명)과 비교해 1년 사이 140명 이상 늘었다.
올해 이미 3개 국내 시중은행과 SC제일은행에서만 2,100여 명이 떠났고 씨티은행 직원의 약 절반만 희망퇴직에 응해도 주요 은행을 떠나는 직원이 한 해 약 4,000명에 이르는 셈이다.
하나은행의 희망퇴직자도 2019년 369명(임금피크 277명·준정년 92명)에서 지난해 574명(임금피크 240명·준정년 334명)으로 크게 늘었고 오는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올해 희망퇴직 신청이 시작되면 지난해 규모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 NH농협은행도 지난해 496명이 희망퇴직했다.
은행권에서 희망퇴직자 행렬이 이어지는 것은 과거와 비교해 퇴직 조건이 전반적으로 유리해진 데다 대상 직원 범위도 확대됐기 때문이다. SC제일은행의 경우 올해 특별퇴직(희망퇴직)자는 직위, 연령, 근속 기간에 따라 최대 6억 원까지 36~60개월분(월 고정급 기준)의 특별퇴직금을 받았다. 지난해 산정 기준(최장 38개월)과 비교하면 많게는 수억 원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올해 희망퇴직 대상자는 1965년생부터 1973년생까지로 지난해(1964~1967년생)보다 대상이 크게 늘어 40대 직원도 신청이 가능했다. 신한은행은 희망퇴직자에게는 연차와 직급에 따라 최장 36개월의 특별퇴직금을 줬다.
은행 입장에서는 비대면 금융 거래 증가로 인력 수요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인 만큼 희망퇴직 조건을 개선해서라도 인력 과잉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올해는 가계대출 급증과 금리 상승에 따른 예대 마진 확대 등으로 사상 최대 이익이 예상돼 은행들은 직원들에게 우호적인 희망퇴직 조건을 제공할 여력도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