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중립은 반드시 걸어가야 할 길이다. 인류 최대 위기로 떠오른 기후변화 해법을 찾기 위해 세계 각국이 머리를 맞대고 있으며 한국 역시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26.3%에서 40%로 상향했다. 이에 따라 미래 청정에너지로 떠오르는 수소 산업이 화석연료의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탄소 중립을 외치는 환경부는 되레 탄소 중립의 핵심인 수소경제 생태계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다.
환경부는 블루수소를 한국형 녹색 분류 체계인 ‘K택소노미’ 수정안에도 포함하지 않았다. K택소노미는 어떤 산업이나 기업 활동의 환경 친화 여부를 구분한 것으로 친환경 사업에 대한 투자금 유입 촉진이 주 목적이다.
블루수소는 액화천연가스(LNG)에서 수소 생산 과정 중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제거한 수소를 뜻한다. 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얻어 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그린수소와 함께 청정수소로 꼽힌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블루수소 역시 화석연료로 만드는만큼 녹색산업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산업통상자원부는 블루수소를 친환경 에너지원의 대표 자원으로 지목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탈원전 기조 아래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대안은 수소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달부터 차량 충전 목적의 수소 제조용 LNG 요금을 3년간 25% 인하했으며,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탄소 포집·저장 통합실증사업’을 추진한다. 박기영 산업부 차관 역시 24일 에너지전략포럼에서 “탄소 배출 없이 생산 가능한 ‘블루·그린수소’ 같은 청정수소 확보는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라고 언급했다.
탄소 중립에 수소는 필수다. 그린수소 시대를 위해 블루수소가 가교 역할을 해야 하는데 K택소노미에 포함되지 않으면 기업들이 투자할 유인이 사라진다. 국민연금이 당장 내년부터 K택소노미를 투자 결정에 활용하는데 정부가 블루수소에 투자하지 말라고 요청하는 셈이다. 최근 수소 외교에 집중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행보와도 엇박자다. 환경부는 오는 12월 K택소노미 최종안을 확정한다. 블루수소는 녹색경제활동으로 인정 받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