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46년 국내 대학 절반 이상 사라진다"…현재 385개에서 190개만 생존

■서울대·보건사회硏 보고서

“청년세대 지역갈등 우려…수도권 편중 조정 절실”





앞으로 25년 이내 국내 대학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제기됐다. 서울 등 수도권 청년인구 편중 현상이 심화되면서 지역간 세수격차와 사회 갈등이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5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인구변동과 미래 전망: 지방대학 분야’ 보고서에 따르면 2042∼2046년 국내 대학은 190개로 예상 됐다. 올해 기준 국내 대학은 총 385곳인데 25년 뒤에는 절반 가량만 생존하는 셈이다.

관련기사



서울을 제외한 지역은 올해 331개 대학 중 146곳(44.1%)만 명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체 17개 시도 중 대학 생존율이 75% 이상인 곳은 서울(81.5%)과 세종(75.0%)뿐이었다. 반면 강원(43.5%), 대전(41.2%), 경북(37.1%), 부산(30.4%), 전북(30.0%) 등은 50%를 밑돌았다. 경남(21.7%), 울산(20.0%), 전남(19.0%) 등은 5개 대학 중 1곳 정도만 살아남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지역별 출생아와 초·중·고등학교 학령인구 증감률, 대학별 신입생 충원율 등을 추산해본 결과 2027년부터 출생아의 약 48%, 2042년∼2046년에는 약 49%가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태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2037∼2041년 서울·경기를 제외한 지방에서 초·중·고 학령인구가 급감하고, 2042년부터는 대학생 학령인구가 영향을 받아 지방 대학들이 생존 위기에 내몰린다는 분석이다.

연구자인 이동규 동아대 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는 “학생 수가 감소하면 등록금 수입이 감소하고 정규직 교직원을 채용할 수 없어 비정규직이 증가한다”며 “지방 대학의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수도권과의 격차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학 격차에 따른 인구 유출이 지역 간 청년세대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도권 청년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갈수록 많은 세금을 부담하게 되고 인구 유출로 지방세 수입이 줄어드는 지역들의 수도권 의존도는 높아지기 때문이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