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검찰인데 앱 깔아달라" ‘기관사칭' 전화금융사기 피해 급증

9월 387건→11월 702건

자료제공=경찰청자료제공=경찰청





검찰이나 금융감독원 등 공공기관을 사칭해 돈을 가로채는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10일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수사상황실’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기관 사칭형 범죄가 올해 9월 387건, 10월 474건, 11월 702건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월별 피해액도 112억원, 135억원, 148억원으로 늘었다.

구체적으로 휴대전화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는지 검사해야 한다며 원격 제어 앱을 설치하게 한 뒤 피해자의 휴대전화를 원격으로 움직여 은행 예금과 주식, 가상자산 판매대금 등을 뺏는 사례들이 속출했다. 서울 용산경찰서는 경찰·검찰 등을 사칭하면서 “물품사기 범죄에 피해자가 연루되었는데, 혐의를 벗기 위해서는 금감원 직원에게 돈을 전달하라”는 명목으로 14회에 걸쳐 5억2,000만원을 편취한 사례를 적발했다.

‘팀뷰어’ 등 원격 제어 앱은 은행 등을 사칭해 만든 불법 앱이 아니어서 차단하기가 어렵다. 경찰은 원격 제어 앱이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높다며 관계기관과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경찰청은 "공공기관은 전화로 금융·개인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앱을 깔게 하거나 예금 보호 등 명목으로 현금 출금·이체·보관도 요구하지 않는다"면서 전화를 끊고 경찰에 신고하라고 당부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