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미크론 20분만에 밝혀낸다…국내 연구진 진단기술 개발

전문장비 없이 진단키트로 신속하게 분석 가능

이정욱 교수 "일상 복귀 도움 위해 기술 공개"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국내 연구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오미크론'을 20분 만에 판별할 수 있는 진단기술을 개발했다.



포항공대(포스텍) 화학공학과 이정욱(41)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이 기술은 10일 저녁 연구팀 웹사이트를 통해 연구용으로 공개된다. 이 교수는 “이번 진단 기술은 기존 PCR(중합효소연쇄반응) 유전자 검사가 잡아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진 ‘스텔스 오미크론’도 검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연구진은 기존 DNA나 RNA 서열을 읽어내는 시퀀싱이 아닌 분자진단 기술을 활용했다. 통상 기기 1대당 최대 96개를 처리할 수 있는 기존 기술과 달리, 30분 만에 125개 이상 처리할 수 있어 시간당 시료 250개 이상이 처리 가능하다. 또 전문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쉽고 간단하게 진단키트를 만들어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기존 시퀀싱 방식을 이용하면 시료 1개당 재료비로 약 48만원, 단위 시간당 시료 처리에 필요한 장비비로 약 5,000만원이 든다. 반면 신규검출법은 재료비로 약 5,000원, 장비비로 약 20만원이 들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연구진은 오미크론 변이 대응 기술 개발에 착수한 지 4일 만에 진단 방법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새로운 변이나 바이러스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이번 기술 공개로 조금이라도 일상생활 복귀가 앞당겨지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새로운 변이나 코로나19 이후 나올 수 있는 또 다른 바이러스도 빠르게 진단해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윤선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