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T, 20kbps 양자암호통신 기술 독자 개발


KT(030200)는 20kbps(초당킬로비트·1킬로비트는 1,000비트) 속도의 고속 양자암호통신을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제공=KT사진제공=KT






양자암호통신은 빛의 가장 작은 단위인 광자를 이용해 정보를 전달해 송신자와 수신자만이 해독할 수 있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KT가 개발한 고속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동시에 4,000개의 암호장비에 양자암호를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KT는 고속 양자암호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부품인 ‘고속 단일광자광원 생성 모듈’과 ‘고속 양자난수 연동 인터페이스’도 개발했다. KT는 신기술로 국방·금융·공공 분야에 필요한 한국형 국가 보안 체계 자체 구축과 양자암호 응용서비스 개발협업 강화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KT는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자동 절체 및 원상 복구 기술 개발,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필수 사항인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정립, 네트워크와 서비스의 안정적 운용 관리를 위한 양자암호 운용관리 기술 개발에 성공하며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해 왔다. 지난 2020년부터는 1-2차 디지털 뉴딜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운영 사업에서 비화통신, 수소드론, 자율주행차에 양자암호키를 직접 공급해 보안통신을 제공하는 응용서비스를 실증했다. 이달 초 진행한 ITU-T SG13 회의에서는 KT가 제안한 양자인터넷 표준화 과제가 채택되고 책임자로 선정되는 등 기술 역량을 인정 받고 있다.

이종식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은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미래 보안통신을 위한 핵심 기술이며 글로벌 기술블록화로 인해 기술독립이 필수인 분야”라며 “앞으로도 비대면 시대에 ICT 생활을 안전하게 누릴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지속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