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은 “글로벌 자산가격 조정 땐 GDP 최대 3% 떨어질수도”

글로벌 금융불균형 누증 위험도 확대

충격에 자산가격 하락하면 소비 등 위축

국내 요인만 보면 GDP 1.4% 하락 추정

서울 아파트 전경서울 아파트 전경




국내 금융취약성지수가 높아진 상황에서 대내외 충격이 발생해 금융불균형이 무너질 경우 국내총생산(GDP)이 10% 확률로 최대 1.4%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융불균형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할 경우엔 최대 3%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불균형 상황에서 실물경제 하방리스크를 점검하기 위한 GaR(Growth-at-Risk) 분석에서 국내 금융취약성지수만 고려했을 때 GDP에 미치는 영향이 -1.4%로 나타났다. 주요국 금융취약성지수를 추가하면 -3.0%로 1.6%포인트 확대된다.

관련기사



대내외 충격으로 금융불균형이 갑자기 무너지면서 자산 가격이 떨어지고 디레버리징이 발생하면서 실물 경제가 침체되는 상황에서는 GDP가 10% 확률로 최대 1.4%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자산가격 하락과 디레버리징이 발생하면 가계 소비, 기업 투자, 수출 감소 등 실물경제가 위축될 수 있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금융불균형도 누증된 만큼 주요국에서도 자산가격 조정이 이뤄지면 우리나라 GDP는 최대 3%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정욱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국내 금융불균형뿐 아니라 글로벌 문제도 함께 커진 상태”라며 “글로벌 금융불균형이 붕괴되면 상대적으로 더 강한 충격이 발생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국내는 최근 들어 금융불균형이 일부 개선되는 모습이지만 과거에 비해 부동산시장을 중심으로 크게 누증된 상황이다. 부동산시장은 가격소득비율(PIR), 가격임대료비율(PRR), 차입비용(대출금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Z-스코어 지수가 장기 평균을 큰 폭 웃돌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주택가격 상승률과 가계부채 증가율이 동반 확대되는 경향이 뚜렷하고 금융취약성지수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뿐 아니라 대외의 금융불균형 누증 정도 및 속도, 재정 및 통화정책의 변화 등과 관련해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