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인민은행의 뜬금없는 "자주성" 강조…통화완화 이어갈 듯

중국 베이징의 인민은행 본부 전경. /로이터연합뉴스중국 베이징의 인민은행 본부 전경.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중앙은행이 자신들 통화정책의 ‘자주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미국 등 주요국가들의 금리인상 등 긴축과 거꾸로 가는 자국 통화 완화정책을 합리화 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5일 밤 홈페이지에 올린 보도문을 통해 전날 열린 4분기 통화위원회에서의 결정 사항을 알렸다. 통화위원회는 “세계적으로 전염병(코로나19)이 지속, 만연하고 외부 환경이 더욱 복잡·엄중해지는 가운데 국내 경제가 수요 축소, 공급 충격, 전망 약세 전환이라는 3중 압력에 직면했다”며 “경제운용에서 안정을 최우선으로 삼는 가운데 안정 속 진전을 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향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 이날 통화위원회는 현행 ‘온건한 통화 정책’을 더욱 유연하고 적절하게 펼쳐야 한다면서 “전망성, 정밀성, 자주성을 제고하는 가운데 능동성을 더욱 중요하게 여겨 실물경제 지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번 분기 보도문은 대체로 앞선 3분기 통화정책위원회 개최 후 발표된 보도문과 전체적 맥락이 유사하지만 전에 없던 ‘자주성’과 ‘능동성’에 관한 표현이 새로 들어간 것이 눈에 띈다. 통화정책의 자주성은 당연하지만 최근 중국 통화정책이 미국 등 주요국가 반대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이것이 주목된 것이다.

앞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테이퍼링 조기 종료를 선언하고 내년 3차례의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하지만 중국은 거꾸로 지난 20일 기준금리 성격의 대출우대금리(LPR)을 0.05%포인트 전격 인하했다. 인민은행은 앞서 이달 15일에는 은행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하하기도 했다.

하반기 들어 중국의 경기둔화세가 확연해지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잇따라 경기부양책을 펼치고 있다. 지난 10일 개최된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는 '안정’을 최우선 경제정책 기조로 내세운 가운데 경기 급랭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 부동산 규제 완화를 예고한 바 있다.

결국 중국 당국이 통화정책의 자주성을 강조하는 것은 글로벌 금융 기조와 거꾸로 가는 자신들의 정책을 합리화할 필요를 느꼈다는 것이다. 베이징의 한 금융 관계자는 “중국이 내년 초에도 계속 통화완화 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베이징=최수문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