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재택치료 3일째 '관리 앱' 설치 안내 없고…의료진은 연락두절

■재택 치료 3만명 관리 구멍

재택 치료 3만명 관리 구멍

"오미크론發 확진자 늘어날텐데

치료 시스템 재정비해야" 지적

지난 27일 오전 서울시 최초로 코로나19 거점 전담 병원으로 지정된 혜민병원 중환자실에서 의료진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27일 오전 서울시 최초로 코로나19 거점 전담 병원으로 지정된 혜민병원 중환자실에서 의료진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아버지가 갑자기 숨을 쉬지 못해 보건소에 연락하려고 했지만 수십 통을 해도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신 모(40) 씨는 재택치료를 받던 아버지가 갑자기 중증으로 악화하며 결국 세상을 떠났다고 토로했다. 동거 가족은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는 원칙 때문에 임종도 지키지 못했다. 그는 “초기에는 비교적 경증이어서 직원이 관리를 부실하게 하는 느낌이었다”면서 “보건소와 연락이 닿고 나서도 병원 이송까지도 몇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29일 방역 당국에 따르면 미성년 등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재택치료를 허용하다가 지난 10월 연령에 관계없이 경증·무증상자로 확대했다. 11월 29일에는 병상 효율화를 위해 특정한 사유가 없으면 모든 확진자에 대해 재택치료를 기본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하지만 단계적 일상 회복 이후 재택치료자가 크게 늘며 관리 가능 범위를 벗어나자 환자들 사이에서는 신 씨의 사례와 같이 재택치료자들이 제대로 관리받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이 쏟아진다.

관련기사





의료계는 내년 1월 오미크론으로 확진자가 늘어날 것을 대비해 재택치료 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어느 정도 병상이 확보된 만큼 면역력이 떨어지는 아이들·고령층과 임산부는 고위험군으로 분류해 입원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로 확진자가 줄며 이날 병상 대기자는 56일 만에 ‘0명’을 기록했다.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 역시 74.9%, 감염병 전담 병원 병상 가동률은 54.0%로 여유가 생긴 상황이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재택치료는 치료가 아니라 관찰이자 대기”라면서 “고령자나 기저질환자가 갑자기 나빠질 경우 이를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구용 치료제를 충분히 확보해 재택치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재택치료자들을 위한 주사 센터를 설립해 항체 치료제 투여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고령층과 임산부는 그 자체로 고위험군이라 언제 상태가 나빠질지 모른다”면서 “의료진이 지속적으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어디든지 입원을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해외에서 오미크론이 걷잡을 수 없이 퍼지자 정부는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해 아프리카 11개국발 단기 체류 외국인 입국자의 입국 금지를 포함해 모든 입국자에 대한 10일 자가격리 수칙을 내년 2월 3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이날 국내 오미크론 확진자는 109명 늘며 누적 감염자 수가 558명이 됐다. 국방부 직할부대(국직부대) 소속 간부 1명과 경기도 오산에 있는 공군 모 부대 병사 2명 등 3명이 오미크론 감염자로 확인되며 군에서의 첫 감염 사례도 나왔다.

왕해나 기자·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